정책디자인(40)
-
AI가 사회를 살아보는 시대 – 디지털트윈과 시뮬레이션이 정책을 바꾼다
인간 모방에서 사회 모방으로AI는 인간의 언어, 판단, 정체성까지 복제 가능한 존재로 진화하고 있다. 2023년, 스탠퍼드대학교 박준성 연구팀은 인공지능(AI)이 한 개인의 기억과 성향, 성격을 복제하는 데 단 2시간의 인터뷰면 충분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인터뷰 데이터를 바탕으로 참가자의 복제 에이전트를 만들었고, 이 AI는 2주 간격으로 성격 검사, 사회적 판단 과제, 논리 문제 등 일련의 테스트를 수행했다. 그 결과, 복제 AI는 실제 인간과 85% 이상 일치하는 반응을 보였다. 출처: arXiv, 2023.09 단 2시간으로 개인의 성격을 복제할 수 있다면, 조직이나 사회의 복제도 가능하지 않을까?같은 해, 박준성 연구팀은 GPT 기반 AI를 활용해 가상의 마을 '스몰빌 Small..
2025.05.16 -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Public Design Beyond Central Government Report 2025핵심 인사이트 및 권고안 2025년 5월 7일영국 디자인카운슬 Design Council '공공부문에서 디자인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영역은 서비스와 프로세스 개선(71%)이다.''지방정부 50%가 내부에 서비스디자이너를 고용하고 있다.''공공부문은 비전문 디자이너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58%는 디자인 업무를 하고 있다고 답했지만, 그중 전문가라고 자신한 비율은 13% 뿐이었다.''디자인은 여전히 공공서비스 설계 및 실행에 있어 위험한 방식으로 간주된다. 특히 의사결정 과정에 사람들을 밀접하게 참여시키는 방식은 조직에 불안감을 주기도 한다. 중앙정부에서 30%, 지방정부에서 23%가 이러..
2025.05.09 -
정책도 디자인이 필요하다 – 기본값을 다시 설정하라
아래 글은 2025.4.25.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정책디자인연구회 '공공정책과 서비스의 수요자 중심 전환, 디자인 기반 접근의 가능성과 과제' 중 윤성원의 발표 내용인 '모두를 위한 정책디자인'을 재구성한 것입니다.정책은 왜 실패하는가?정책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흔히 정책이 수많은 전문가의 분석과 논의를 거쳐, 과학적이고 정교하게 설계된 결과물이라고 믿는다. 하지만 실제 정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들여다보면, 그런 믿음이 얼마나 순진한 착각인지 깨닫게 된다.대부분의 정책과 공공서비스는 직관, 관행, 선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복잡한 사회문제 앞에서도 충분한 실험과 검증 없이 급조된다. 이렇게 탄생한 정책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도대체 왜, "정책은 디자인되지 않는..
2025.04.25 -
공공정책과 서비스의 수요자 중심 전환, 디자인 기반 접근의 가능성과 과제 - 한국정책학회 정책디자인연구회, 4월25일(금)
'공공정책과 서비스의 수요자 중심 전환, 디자인 기반 접근의 가능성과 과제'한국정책학회 정책디자인연구회서울 LW컨벤션센터 8분과 (소회의실2) 4월25일(금) 14:10~15:30 주제1. 공공서비스디자인 로드맵, 국내외 확산 동향 (14:10~14:35)발표: 구유리 홍익대학교 서비스디자인 교수토론: 김선희 육군3사관학교 교수국내 서비스디자인은 2011년부터 산업‧사회 전반의 혁신 수단으로 시범사업 및 정책 지원이 추진되어 왔으나, 여전히 안전, 행정, 사회서비스 등 일부 분야에 국한되어 있는 반면, 해외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이 공공 및 민간 전반에 걸쳐 수요자 중심 혁신을 주도하는 핵심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영역 내 서비스디자인의 활용 범위를 확대하고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높이기 ..
2025.04.23 -
정책의 기본값을 다시 설정하자. 직관이 아닌 관찰로
정책은 이렇게 시작된다. '태초에 말씀이 있었다.'2024년 2월, 대통령은 의과대학 정원을 2,000명 증원하겠다고 발표했다. 몇 일 뒤, 산단을 청년 친화적으로 개조할 '산리단길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대통령의 선언은 곧 '정책'이 된다. 부처 장관들은 그의 '말씀'이 끝나자마자 대책 회의를 연다. 조금 전까지만 해도 없던 문제가 갑자기 '긴급'해지고, 이미 수차례 경고되었지만 외면되던 사안도 '예견 못 한 위기'로 재포장된다. 이런 식의 예는 매우 많다. 2022년 10월, 이태원 참사 이후 일어난 일도 같았다. 대통령은 “다시는 이런 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선언했고 곧 ‘국가 안전 시스템 개편 종합 대책’이 발표됐지만, 그 대책의 상당수는 이전에 미뤄졌던 사업을 재포장한 것..
2025.04.22 -
영국의 디자인과 정책: 주요 현안과 미래 연구 방향 - Lucy Kimbell, Catherine Durose, Ramia Mazé, Liz Richardson
영국의 디자인과 정책: 주요 현안과 미래 연구 방향루시 킴벨, 캐서린 뒤로즈, 라미아 마제, 리즈 리처드슨Design and Policy: Current Debate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in the UK Lucy Kimbell, Catherine Durose, Ramia Mazé, Liz Richardson. 2023. 10.AHRC Design | Policy Research Network 보고서원문 출처 : https://gtr.ukri.org/publication/overview?outcomeid=65eb09b2d9a5b1.71874088&projectref=AH/W009560/1 이 보고서는 영국 예술인문학연구위원회(AHRC, Arts and Human..
2025.03.15 -
미대 출신의 행정관이 말하는, 행정에 서비스디자인이 필요한 이유 - 일본 디지털청 전략·조직 그룹 기획관 토야마 마사아키 세미나 정리. 2024.12.2.
미대 출신의 행정관이 말하는, 행정에 '서비스디자인'이 필요한 이유2024년 12월, 일본 디지털청 '정책 테마별 세미나' 중에서출처 : 일본 디지털청 노트 https://digital-gov.note.jp/n/n13ae114e3237등록일 : 2025년 2월 5일 12:00디지털청에서는 국가공무원을 지망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소관 정책 내용이나 직면 중인 정책 과제에 대한 대응, 일상의 업무 내용 등을 현장 직원이 소개하는 「정책 테마별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2024년 12월 2일에 실시한 세미나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을 담당하고 있는 토야마 마사아키(外山雅暁) 기획관의 발표가 있었다.정책이나 서비스를 추진함에 있어 디지털청이 중시하는 것은, 사용자 관점의 「서비스디자인」 사고방식이다. 디지털청은..
2025.02.18 -
SD in Gov Virtual 2025 공공서비스디자인 온라인 컨퍼런스
SD in Gov Virtual 2025공공서비스디자인 온라인 컨퍼런스2025년 3월 12일, 온라인https://virtual.sdingov.net/ SD in Gov(Service Design in Government)는 공공서비스디자인과 발주, 실행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을 위한 국제 커뮤니티 행사이다. 이 컨퍼런스는 공공부문에서 서비스디자인의 중요성과 실제 사례를 공유하며, 혁신적이고 실질적인 접근 방식을 배우는 자리로 자리매김했다. 2025년 3월 12일에 개최되는 SDinGov: Virtual은 기존 오프라인 행사를 온라인으로 확장한 버전으로,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프로그램은 중앙 및 지방정부, 공공정책, 보건, 교육, 시민 기술 등 여러 공공 분야를 아우르며 폭넓은 주..
2024.11.30 -
정책디자인, 세계의 정책랩 7 : 덴마크 마인드랩, X-Lab
마인드랩 MindLab (덴마크 산업부 등. 현재 운영되지 않음)MindLab은 2002년에 덴마크 정부가 설립한 세계 최초의 정부 혁신 정책랩 중 하나로, 공공 부문에서 서비스디자인과 사용자 중심 정책 개발을 주도했다. 이 조직은 정부와 시민 간의 소통을 강화하고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업하며 실험적 접근을 시도했다. 2018년 종료되었지만, MindLab의 모델은 전 세계 여러 정책랩에 큰 영향을 미쳤다소속: 덴마크 산업부, 고용부, 교육부설립연도: 2002년목적: 공공 서비스의 혁신을 통해 시민 중심의 정책을 개발하고, 정부와 시민 간 신뢰를 증진주요 활동:정책 설계에서의 서비스디자인 활용: 시민과 공무원이 함께 정책을 설계하고 실행.반복적 테스트와 프로토타이핑: 실험적..
2024.10.19 -
정책디자인, 세계의 정책랩 6 : 일본 디지털청 서비스디자인 유닛(Service Design Unit)
서비스디자인 유닛(Service Design Unit, 일본 디지털청)서비스디자인 유닛(Service Design Unit)는 2021년 디지털청 출범과 함께 설립된 조직으로, 사용자 중심의 디지털 행정 서비스를 개발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청의 22개의 유닛 중 하나인 서비스디자인유닛은 일본 국민이 디지털 전환의 혜택을 쉽게 누릴 수 있도록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해 행정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고, 국민의 경험을 중심으로 설계를 재구성하고 있다.소속: 일본 디지털청설립연도: 2021년목적: 국민들이 편리하게 디지털 행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의 접근법을 적용하고, 공공 서비스를 개선하며, 행정 절차를 디지털화하여 국민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주요 활동:디지털..
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