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able's Latest Posts
-
(영상) 공공부문 디자인: 모두를 위한 영향 - 루 다운(Lou Downe) 강연
공공부문 디자인: 모두를 위한 영향 - 루 다운(Lou Downe) 강연 Design in Government Impact for All – Lou Downe Keynote2022.11.02. https://www.youtube.com/watch?v=71i7_hJyCQk번역 : 챗GPT[유튜브 영상 설명]2022년 11월 2일, 캐서린 마틴 아일랜드 관광·문화·예술·게일어권·스포츠·미디어부 장관은 라이트하우스 시네마에서 열린 제1회 ‘정부에서의 디자인 (Design in Government)’ 컨퍼런스에 참석한 대표단을 환영하였습니다.본 컨퍼런스는 2022년 공공서비스 혁신주간(Public Service Innovation Week 2022)의 일환으로, 크리에이티브 아일랜드 프로그램(Creative I..
-
(영상) 디자인과 공공정책: 공공부문 전환의 가능성 - 루시 킴벨 강연
이 강연은 디자인의 역할을 민주주의를 재구성하는 실천으로 확장하고자 하는 내용이다. 루시 킴벨은 디자인을 ‘현재와 가능성 사이를 매개하는 힘’으로 정의하며, 이를 정책주기 전반에 통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GDS, NHS 등 영국 사례를 기반으로 제도화 전략도 함께 제시한다. 사용자의 경험, 공동디자인, 반복적 실험 등의 디자인 실천을 제도화하면 더 효과적이고 포용적인 공공서비스가 가능하다고 본다. 또한 디자인은 시민을 참여자가 아닌 정책의 공동제작자로 위치시켜 민주주의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 강연은 서비스디자인, 정책디자인, 공공행정 혁신을 연결하는 전략적 전환점으로 의미를 갖는다. 루시 킴벨(Lucy Kimbell)은 런던예술대학교 센트럴세인트마틴(Central Saint Ma..
-
(웨비나) 확장: 디자인으로 미래를 확장하다 - 크리스티안 바손
기존 디자인씽킹은 지나치게 형식화되어 있으며, 급변하는 복합적 사회문제에 대응하기에는 사고의 폭이 좁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디자인의 사고 범위를 6가지 방향—시간, 근접성, 생명, 가치, 차원, 섹터—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디자인은 단순히 제품이나 서비스 개선이 아니라, 공공정책, 기술, 생태계 전환, 윤리적 판단까지 포괄하는 전략적 사고 방식이어야 한다. 장기적인 안목, 모든 생명체를 고려한 디자인, 시민과 자연에 대한 감정적 근접성, 공공·민간의 경계 해체 등 새로운 접근이 요구된다. 이러한 확장된 디자인 사고는 새로운 미래를 창출하는 실행 전략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디자이너의 역할과 공공부문의 책임도 재정의되어야 한다.그가 쓴 책, EXPAND: Stretching ..
-
(논문) 변방의 정책랩: 혁신 수용을 높이기 위한 경계-넘기 전략 - Andreas Hagedorn Krogh. 2024.
정책랩은 혁신을 위해 기존 관행과 일정한 거리를 두어야 한다. 그러나 정책이 실제로 제도에 영향을 미치려면, 의사결정의 중심부와 긴밀히 연결되어야 한다. 이 지점에서 ‘거리 두기’와 ‘연결하기’ 사이의 딜레마가 발생한다. 전 세계 정부들은 이러한 혁신의 기대를 안고 정책랩을 만들어 왔지만, 대부분은 조직 내에서 고립되어 실제 정책 변화로 이어지지 못한다. 이 논문은 덴마크의 세 정책랩 사례를 분석해, 조직 내부에서 정책 수용을 촉진하기 위한 세 가지 경계-넘기(boundary-spanning) 전략을 제시한다. 의제 연계, 의사결정 협의체 연계, 핵심 의사결정자 연계 전략이다. 핵심 행위자 연계 > 의제 연계 > 의사결정장 연계 순으로 정책 수용에 영향력이 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 세 전..
-
(논문) 공공부문에서 디자인사고를 가능하게 하기: 전략의 분류체계 - Geert Brinkman 등
이 논문은 공공부문에서 디자인씽킹을 적용하기 위한 실행 전략을 분석한 연구이다.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14개 프로젝트를 사례로 삼아 총 18개의 전략을 도출한다. 전략은 신뢰 구축, 동맹 형성, 지지 확보, 정합성 제고의 네 가지 목적 아래 분류된다. 기존 문헌이 제도적 충돌에 집중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사람 간 상호작용과 관계 형성에 초점을 둔다. 이 논문은 국내 디자이너에게 공공조직과의 협업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통찰을 제공한다.공공부문에서 디자인사고를 가능하게 하기: 전략의 분류체계Policy Design and Practice Volume 6, 2023 - Issue 3저자: Geert Brinkman, Arwin van Buuren, William Voorberg, Mie..
-
(논문) 정책랩의 한계: 특성, 기회 및 제약 - 제니 M. 루이스
정책랩은 정부가 전통적 관료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도입한 정책 실험 공간이다. 이 논문은 52개의 정책랩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이들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어떤 가능성과 제약을 갖는지 분석한다. 디자인씽킹과 시민참여를 기반으로 창의적 해법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나 정치적 후원, 제도적 저항, 실행역량 부족 등으로 지속성과 영향력에 한계가 있다. 정책랩은 만능 해결사가 아니다. 기존 정책 시스템을 보완하는 하나의 도구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니 M. 루이스(Jenny M. Lewis)는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대학교 사회정치과학부 교수이며, 공공정책, 정책디자인, 정책조언 체계(policy advisory systems) 연구에 정통한 학자이다. 정책 혁신, 디자인씽킹, 공공서비스 개혁을 주제..
-
정책혁신랩 연구: 과거, 현재, 미래 – 정책혁신랩 특집호 서문. 애덤 M. 웰스테드 등
POLICY DESIGN AND PRACTICE 특집호는 정책랩에 대한 기존 연구를 종합 구성하였다.정책랩은 디자인 기반 접근, 실험적 방법론, 사용자 참여를 핵심 특징으로 전 세계에 빠르게 확산 중이다.기존 문헌은 대부분 기술적 수준에 머물며, 이론-실천 간 연결, 정책 사이클과의 연계, 실질적 영향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다. 특집호에 수록된 여섯 편의 논문은 캐나다, 핀란드, 브라질 등 다양한 맥락에서 정책랩의 실제 운영과 한계를 조명한다. 정책혁신랩 연구: 과거, 현재, 미래 – 정책혁신랩 특집호 서문 Policy innovation lab scholarship: past, present, and the future -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on policy i..
-
(논문) 아래로부터의 정책을 위한 디자인: 풀뿌리 프레이밍과 정치적 협상 - 페데리코 바즈 등. 2022
이 논문은 ‘정책을 위한 디자인’이 정부 중심(top-down)만이 아니라, 시민 중심(bottom-up)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기존에는 정부가 문제를 정의하고 디자이너는 그것을 해결하는 역할에 머물렀다. 하지만 이제는 시민, 활동가, 커뮤니티가 공공문제를 스스로 정의하고, 정부를 움직이게 만드는 데 디자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디자인 도구(예: 프레임, 페르소나, 시나리오 등)는 캠페인 전략을 짜고 정책을 설득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특히 ‘감각 형성(sense-making)’과 ‘의미 구성(meaning-making)’을 디자인이 개입하는 핵심 지점으로 본다. 이 논문은 디자인을 문제해결 방법을 넘어, 변화의 정치적 수단이며 힘을 조직하는 도구로 보고 있다. 아래로부터의 정책을 위한..
Usable's Popular Posts
-
고객여정맵 (Customer Journey Map) - 서비스디자인 방법
'고객여정맵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는 고객의 경험을 시각화해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디자인의 대표적 방법으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pain point)을 찾는 데 사용한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 경험의 과정을 시간 순으로 배열,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마다 감정의 고저를 표기하여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서비스를 전체적 맥락에서, 고객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게 한다.'----- 연말 국민디자인단(현 국민정책디자인단) 성과공유대회에서는 한 해 동안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던 최우수 과제를 뽑아 시상한다. 디자이너처럼 능숙하게 디자인 전문용어를 사용하며 경과를 발표하여, 현장에서는 누가 공무원이고 누가 디자이너인지 구분이 어려울 정도다. 여기서 한 팀도 예외 없이 고객의 애로사항을 찾는..
-
서비스 블루프린트 (Service blueprint) - 서비스디자인 방법
'서비스 블루프린트는 고객의 경험과 서비스 제공자들의 조치들을 연관 지어 작성한 흐름도로, 상호작용을 보여주며 전방 업무와 후방 업무를 '가시선'으로 구분한다.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통해 서비스의 모든 요소와 관계를 조직 내외부 이해관계자들과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며 개선할 수 있다. 고객 행동을 시간/단계에 따라 나열하고, 사용자와 공급자의 상호작용 매개체를 정의하며, 전방 업무, 후방 업무, 지원 프로세스를 정리해 나가는 식으로 완성한다.'-----서비스 청사진 또는 서비스 블루프린트는 쇼스택(G.L. Shostack)이 1984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처음 제안한 것으로 ‘서비스 사이클에서 고객의 경험을 여러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조치들과 연관을 지어 작성한 흐름도’이다. 이것은 고객과 관련..
-
챗GPT를 디자인 업무에 활용할 24가지 방법, 프롬프트에 적는 문장의 예시
챗GPT를 디자인 업무에 활용할 24가지 방법과 프롬프트에 적는 문장의 예시 . 1. 콘텐츠 제작: chatGPT로 마케팅 자료,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에 사용할 카피, 헤드라인, 설명을 만들 수 있습니다. "(관련 설명 자료를 붙여넣고,(이하 생략)) 이 신제품 출시에 대한 눈에 띄는 헤드라인과 주요 기능과 이점을 강조하는 유익한 설명을 만들어." 2. 컨셉 아이디어: 디자인 콘셉트 및 프로젝트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음료 제품의 포장 디자인에 대한 창의적이고 독특한 아이디어 5가지를 제시해줘." 3. 고객 서비스: 고객 문의 및 지원에 ChatGPT를 사용하여 디자이너가 창의적인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세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문의에..
-
(영상) 공공영역의 디자인: 세계의 실천 사례들 - 디자인 리서치 위크 2025. 노스이스턴대학교
출처 : https://youtu.be/Bc82wnEsD-g?si=gMwD9J5YbzrfwtWZ번역 : 챗GPT디자인 리서치 위크 2025Design in the Public Sector: Global Approaches디자인센터(Center for Design)노스이스턴대학교(Northeastern University) College of Arts, Media and Design (CAMD)이 행사 디자인 리서치 위크는 노스이스턴대학교가 주관하여 일주일간 개최된, 워크숍, 프레젠테이션 등을 통해 디자인과 리서치의 접점을 탐구하고 성찰하는 주간 행사입니다. 2025.3.19. 수요일. 오전 10시 – 오후 12시 커뮤니티와 시민의 미래를 주제로 열린 온오프라인 세미나 영상이 공개되었습니다.『Design ..
-
(논문) 변방의 정책랩: 혁신 수용을 높이기 위한 경계-넘기 전략 - Andreas Hagedorn Krogh. 2024.
정책랩은 혁신을 위해 기존 관행과 일정한 거리를 두어야 한다. 그러나 정책이 실제로 제도에 영향을 미치려면, 의사결정의 중심부와 긴밀히 연결되어야 한다. 이 지점에서 ‘거리 두기’와 ‘연결하기’ 사이의 딜레마가 발생한다. 전 세계 정부들은 이러한 혁신의 기대를 안고 정책랩을 만들어 왔지만, 대부분은 조직 내에서 고립되어 실제 정책 변화로 이어지지 못한다. 이 논문은 덴마크의 세 정책랩 사례를 분석해, 조직 내부에서 정책 수용을 촉진하기 위한 세 가지 경계-넘기(boundary-spanning) 전략을 제시한다. 의제 연계, 의사결정 협의체 연계, 핵심 의사결정자 연계 전략이다. 핵심 행위자 연계 > 의제 연계 > 의사결정장 연계 순으로 정책 수용에 영향력이 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 세 전..
-
정책혁신랩 연구: 과거, 현재, 미래 – 정책혁신랩 특집호 서문. 애덤 M. 웰스테드 등
POLICY DESIGN AND PRACTICE 특집호는 정책랩에 대한 기존 연구를 종합 구성하였다.정책랩은 디자인 기반 접근, 실험적 방법론, 사용자 참여를 핵심 특징으로 전 세계에 빠르게 확산 중이다.기존 문헌은 대부분 기술적 수준에 머물며, 이론-실천 간 연결, 정책 사이클과의 연계, 실질적 영향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다. 특집호에 수록된 여섯 편의 논문은 캐나다, 핀란드, 브라질 등 다양한 맥락에서 정책랩의 실제 운영과 한계를 조명한다. 정책혁신랩 연구: 과거, 현재, 미래 – 정책혁신랩 특집호 서문 Policy innovation lab scholarship: past, present, and the future -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on policy i..
-
도쿄의 예술적인 공중화장실 17선 - 더도쿄토일렛프로젝트 구글 지도로 찾아보기
최고의 실력자들이 공공공간을 만든다면 세상은 어떻게 바뀔 수 있을까? 우리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환경은 대체로 우리 시대 디자인역량의 가장 낮은 수준으로 만들어진다. 공공부문 최저가 입찰의 맹점 때문이다. 실력있는 전문가들은 수지가 맞지 않는 공공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없다. 바쁜 와중에 짬을 내어 재능기부할 수도 있지 않나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예외적인 경우로, 결과적으로 우리 삶의 환경은 나쁘거나 보잘 것 없는 디자인으로 채워지고 만다. 최고의 실력자들이 공공공간을 만든다면 세상이 어떻게 바뀔 수 있을까? 아주 드물게, 이러한 꿈같은 구상이 실현되기도 한다. 더도쿄토일렛프로젝트(The Tokyo Toilet Project) 같은 경우가 그것이다. 우리나라에서 2024년 7월3일 개..
-
(논문) 정책랩의 한계: 특성, 기회 및 제약 - 제니 M. 루이스
정책랩은 정부가 전통적 관료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도입한 정책 실험 공간이다. 이 논문은 52개의 정책랩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이들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어떤 가능성과 제약을 갖는지 분석한다. 디자인씽킹과 시민참여를 기반으로 창의적 해법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나 정치적 후원, 제도적 저항, 실행역량 부족 등으로 지속성과 영향력에 한계가 있다. 정책랩은 만능 해결사가 아니다. 기존 정책 시스템을 보완하는 하나의 도구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니 M. 루이스(Jenny M. Lewis)는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대학교 사회정치과학부 교수이며, 공공정책, 정책디자인, 정책조언 체계(policy advisory systems) 연구에 정통한 학자이다. 정책 혁신, 디자인씽킹, 공공서비스 개혁을 주제..
Usable's Top 5 Must-Reads
-
공공서비스디자인 개론서.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7)
공공서비스디자인 개론서,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2017년 개정판)* 첨부된 PDF 파일로 확인해주세요.아래는 구글에서 검색되도록 하기 위해 본문을 복사해 둔 것입니다.------------------------------------------------------------------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국민 중심 정부 실현을 위한 공공서비스디자인한국디자인진흥원윤성원 김정원 안나영로보앤컴퍼니정인애 대표 박 찬 기은경 이주성이 책은 산업통상자원부 R&D 2012 디자인전문기술개발사업 중 ‘공공서비스 수요자중심 혁신과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서비스디자인기술개발’ 의 연구 내용을 토대로 개발된 것입니다.현장에 답이 있다수요자 중심의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서 정책은 이제 현장으로 가야 합니다. 정부..
2016.12.24 20:20 -
AI, 디자인을 깨우다 - 윤성원 + 챗GPT
AI시대, 변화의 교차점에 선 디자인을 돌아본다 AI, 디자인을 깨우다 윤성원 한국디자인진흥원 수석연구원 + 챗GPT 우리는 사상 처음으로 AI 기술의 빠른 발전을 경험하고 있다. 이는 모든 분야에 혁명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는 정보 획득, 소통, 창조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디자인 분야는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서 AI의 영향을 가장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있으며, 이는 디자이너들에게 도전과 기회를 제공한다. 'AI가 디자인을 깨우다'는 AI가 디자인 분야에 미칠 영향을 탐구한다. 챗GPT의 등장은 디자인 업계에 새로운 활력과 영감을 불어넣으며, 혁신을 촉진할 것이다. AI의 적용이 디자인 분야를 어떻게 변화시킬지, 디자인 프로세스, 창의성, 그리고 사회적 영향에..
2023.11.26 01:54 -
디자인이 궁금해 - 윤성원 등.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이 궁금해 디자인산업과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 한국디자인진흥원 신입직원 교육용 교재 들어가는 글 디자인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조망합니다. 디자인산업의 특징, 디자인 수요시장과 디자인서비스 공급자의 사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한국디자인진흥원에 주어진 과제, 디자인산업이 해결해가야 할 과제는 무엇이고, 코로나19 이후 디자인산업 육성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지 생각해봅니다. 우리나라 디자인산업 육성 정책을 담당하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역할과 사업을 중심으로 디자인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전망하는 데 도움이 될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2022. 9. 한국디자인진흥원 --- 목차 01_디자인은 무엇인가 01. 디자인은 무엇인가? 02. 디자인은 어떻게 분류되나? 03. 디자인 사다리, 각국의 ..
2023.07.13 02:22 -
보이지 않는 서비스, 보이는 디자인 - 서비스디자이너를 위한 안내서
보이지 않는 서비스, 보이는 디자인서비스디자이너를 위한 안내서쓸만한웹, 페이스북, 간행물 등 다양한 포맷으로 적던 글을 종합한 '보이지 않는 서비스, 보이는 디자인' PDF. 을 웹페이지로 만들고 목차에 링크했습니다.소개이 글은 2009년부터 서비스디자인을 소개하기 위해 모아 왔던 자료와 네이버카페 ‘쓸만한웹’에 썼던 글 중 관련 내용을 모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 국내외 다양한 사례를 통해 서비스디자인 동향을 소개하고 향후 변화 방향을 전망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1장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이 주목받는 배경과 필요성에 대해, 2장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3장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이 어떤 절차와 방법으로 실행되는지를, 4장에서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을 ..
2023.04.03 00:50 -
다시 디자인 - 2024.12. 윤성원
아래는 검색엔진을 위해 복사해 둔 글입니다. PDF파일을 내려받아 보세요. 다시 디자인 디자인에 관한 생각 모음 2011~2024 윤성원 2011년~2024년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usable 과 쓸만한웹 http://www.usableweb.co.kr 에 올렸던 글 중 일부를 모았습니다. 제 관심사가 99% 디자인이기에 제목이 ‘다시 디자인’이지만 디자인 주제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내용 중 일부는 현시점을 반영해 수정하였습니다. 인용, 출처를 빠트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으니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모든 글은 제 개인의 생각이며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입장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2024.12.31. 윤성원 design@naver.com 010-3123-3..
2021.07.04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