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디자인(371)
-
정책도 디자인이 필요하다 – 기본값을 다시 설정하라
아래 글은 2025.4.25.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정책디자인연구회 '공공정책과 서비스의 수요자 중심 전환, 디자인 기반 접근의 가능성과 과제' 중 윤성원의 발표 내용인 '모두를 위한 정책디자인'을 재구성한 것입니다.정책은 왜 실패하는가?정책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흔히 정책이 수많은 전문가의 분석과 논의를 거쳐, 과학적이고 정교하게 설계된 결과물이라고 믿는다. 하지만 실제 정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들여다보면, 그런 믿음이 얼마나 순진한 착각인지 깨닫게 된다.대부분의 정책과 공공서비스는 직관, 관행, 선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복잡한 사회문제 앞에서도 충분한 실험과 검증 없이 급조된다. 이렇게 탄생한 정책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도대체 왜, "정책은 디자인되지 않는..
2025.04.25 -
서비스디자인을 어떻게 분류할까?
서비스디자인을 어떻게 분류할까? 서비스디자인은 특정 결과물의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디자인 영역을 포괄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결과물의 형태보다는 목적과 제공 주체의 성격을 기준으로 분류해야 한다. 서비스디자인의 산업적 가치를 규명하고 활용 전략을 구상하기 위해 디자인의 역할, 수요 영역, 수요자 특성이라는 세 가지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나누어 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서비스디자인의 적용과 정책 수립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시작하는 글기존의 디자인 분류체계는 제품·환경·시각 등 명확한 형태가 있는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서비스디자인은 무형적 요소와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상호작용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 중심적 특성을 갖기 때..
2025.04.25 -
공공정책과 서비스의 수요자 중심 전환, 디자인 기반 접근의 가능성과 과제 - 한국정책학회 정책디자인연구회, 4월25일(금)
'공공정책과 서비스의 수요자 중심 전환, 디자인 기반 접근의 가능성과 과제'한국정책학회 정책디자인연구회서울 LW컨벤션센터 8분과 (소회의실2) 4월25일(금) 14:10~15:30 주제1. 공공서비스디자인 로드맵, 국내외 확산 동향 (14:10~14:35)발표: 구유리 홍익대학교 서비스디자인 교수토론: 김선희 육군3사관학교 교수국내 서비스디자인은 2011년부터 산업‧사회 전반의 혁신 수단으로 시범사업 및 정책 지원이 추진되어 왔으나, 여전히 안전, 행정, 사회서비스 등 일부 분야에 국한되어 있는 반면, 해외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이 공공 및 민간 전반에 걸쳐 수요자 중심 혁신을 주도하는 핵심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영역 내 서비스디자인의 활용 범위를 확대하고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높이기 ..
2025.04.23 -
대전시 퍼블릭이즈 2025, 시민과 디자이너가 함께 만드는 공공의 미래
대전시는 시민 참여형 디자인 거버넌스 프로젝트 ‘퍼블릭이즈(Public is)’를 올해 처음으로 운영하며, 시민 아이디어 실현을 위한 실행팀을 공개 모집한다. 2025년 3월 진행된 ‘제안에서 실행까지’ 주제 공모에는 총 358건의 시민 제안이 접수됐으며, 전문가 심사와 시민 투표를 거쳐 최종 3개의 실행 주제가 선정됐다.선정된 주제는 ▲자원순환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노인 무단횡단 방지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치매를 함께 준비하는 서비스디자인 총 3건이다.관련 기사 : https://www.newsro.kr/article243/857401/ 주제 선정 : https://www.daejeon.go.kr/seesaw/djaskView.do?sugstSeq=14274&menuSeq=5923 참가신청 : ht..
2025.04.09 -
도쿄도의 만화형 가이드라인: 실무에서 배우는 서비스디자인 적용법
도쿄도청은 2025년 2월, ‘서비스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화 형식의 해설서를 공개했다.이 콘텐츠는 2023년 발표된 공식 가이드라인에 이어, 실무자가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후속 자료이다. 도쿄도 디지털 아카데미의 교육자료로 제작되었으며, 서비스디자인의 개념과 절차, 적용 방식을 실제 행정사례를 기반으로 시각적으로 풀어낸 것이 특징이다.만화의 주인공은 도쿄도청에서 디지털 인재 채용 정보 사이트를 기획하게 된 실무자다. 처음에는 서비스 기획을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 막막해하지만, 경험 많은 선배 공무원의 안내에 따라 서비스디자인 접근법에 따라 하나하나 문제를 풀어나가게 된다.도쿄도청 내부 회의, 사용자 조사, 여정맵 ..
2025.04.03 -
공공부문 디자이너들이 생각을 모으기 시작했다! 변화의 현장, 제1회 공공기관공공디자인협의회 컨퍼런스 후기
지난 2월 26일, 성남시에 위치한 한국디자인진흥원(KIDP)에서 ‘제1회 공공기관공공디자인협의회 컨퍼런스 및 정기총회’가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는 한국디자인진흥원(원장 윤상흠)과 공공기관공공디자인협의회(이하 공공협, 회장 유오식)가 공동으로 주최한 자리로, 디자인 사업을 담당하는 지자체 및 공공기관 공직자들이 직접 논의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첫 번째 공식 컨퍼런스였다. 초정 서비스디자인 전문가 10명을 포함, 60명이 참석했다.디자인을 담당하는 공직자들의 모임인 공공협은 2022년 발족한 단체로, 현재 130여 명의 회원이 가입되어 있다. 이들은 전국 주요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에서 디자인 업무를 수행하며, 정보 교류와 정책 논의를 통해 공공부문 디자인의 실질적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번 컨퍼..
2025.03.01 -
미대 출신의 행정관이 말하는, 행정에 서비스디자인이 필요한 이유 - 일본 디지털청 전략·조직 그룹 기획관 토야마 마사아키 세미나 정리. 2024.12.2.
미대 출신의 행정관이 말하는, 행정에 '서비스디자인'이 필요한 이유2024년 12월, 일본 디지털청 '정책 테마별 세미나' 중에서출처 : 일본 디지털청 노트 https://digital-gov.note.jp/n/n13ae114e3237등록일 : 2025년 2월 5일 12:00디지털청에서는 국가공무원을 지망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소관 정책 내용이나 직면 중인 정책 과제에 대한 대응, 일상의 업무 내용 등을 현장 직원이 소개하는 「정책 테마별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2024년 12월 2일에 실시한 세미나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을 담당하고 있는 토야마 마사아키(外山雅暁) 기획관의 발표가 있었다.정책이나 서비스를 추진함에 있어 디지털청이 중시하는 것은, 사용자 관점의 「서비스디자인」 사고방식이다. 디지털청은..
2025.02.18 -
“서비스디자인은 스프린트가 아니라 마라톤이다.” - 서비스디자인네트워크 비르깃 마거 대표 방한 세미나 후기
“서비스디자인은 스프린트가 아니라 마라톤이다.” (Martin Jordan, Head of Design & User Research at the German government's Digital Service.) 서비스디자인 네트워크(SDN)의 비르깃 마거 대표는 독일 정부 디지털서비스 디자인팀장인 마틴 조단의 말을 빌어 서비스디자인의 현황을 설명했다. 2024 서울디자인국제포럼 참석차 한국을 방문한 그녀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초청으로 11월 28일 서울에서 작은 규모지만 깊은 논의가 오간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한국 공공서비스디자인의 지난 10여 년을 돌아보고, 글로벌 흐름 속에서 한국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공공부문 서비스디자인의 성장 과정을 함께해 온 디자이너, 공공기관 관계자들도 ..
2024.12.06 -
공공서비스디자인 DeepDive 워크숍 개최 안내 - 12.13. 코리아디자인센터
공공서비스디자인 DeepDive 워크숍공공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툴킷 심화 워크숍일시: 2024년 12월 13일(금) 오후 1시 ~ 6시장소: 한국디자인진흥원 본원 DK캠퍼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양현로 322 https://naver.me/xH2DLJV5 주차 가능워크숍 개요공공분야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와 2025 행정안전부 공공서비스디자인사업(국민디자인단)에 관심 있는 디자이너를 위한 특별한 워크숍!서비스디자인 도구 모음을 활용한 실습 중심의 심화 프로그램으로, 인터뷰 분석법부터 아이디어 도출까지 공공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을 익힐 수 있는 기회입니다.공공문제 해결 역량을 키우고 싶은 서비스디자이너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연사 소개김경진SK플래닛 넥스트마케팅..
2024.12.04 -
로마의 사피엔차 대학교(Sapienza University of Rome), 공공부문을 위한 서비스디자인(Service Design for Public Sector) 박사 과정 개설
로마의 사피엔차 대학교(Sapienza University of Rome)는 2023/2024 학년도에 "공공부문을 위한 서비스디자인(Service Design for Public Sector)" 박사 과정을 새로 개설했다. 이 프로그램은 디지털 전환, 생태 전환, 공공 참여, 건강 사회 등 네 가지 주제 축을 중심으로 공공 서비스 혁신을 추구한다. 디자인, 심리학, 경영학, 공학, 컴퓨터 과학, 사회 과학, 정책 결정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지식을 통합하여 공공 행정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이 박사 과정은 사피엔차 대학교를 포함한 7개의 국내 파트너 기관과 협력하여 운영되며, 국제적으로도 영국의 런던 예술대학교(University of the Arts Lon..
2024.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