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디자인을 어떻게 분류할까?

2025. 4. 25. 10:26서비스디자인/서비스디자인이란?

서비스디자인을 어떻게 분류할까?
서비스디자인은 특정 결과물의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디자인 영역을 포괄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결과물의 형태보다는 목적과 제공 주체의 성격을 기준으로 분류해야 한다.
서비스디자인의 산업적 가치를 규명하고 활용 전략을 구상하기 위해 디자인의 역할, 수요 영역, 수요자 특성이라는 세 가지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나누어 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서비스디자인의 적용과 정책 수립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시작하는 글

기존의 디자인 분류체계는 제품·환경·시각 등 명확한 형태가 있는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서비스디자인은 무형적 요소와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상호작용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 중심적 특성을 갖기 때문에 기존의 결과물의 형태 중심 분류로는 명확한 구분이 어렵다. 따라서 서비스디자인을 효과적으로 분류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결과물의 형태 대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목적과 주체의 성격을 기준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디자인은 디자인의 결과물 형태에 따라서 구분될 수도 있고 디자인이 지향하는 가치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양자는 서로 다른 관점의 접근이다.
① 디자인의 결과물 형태에 따른 분류 : 제품디자인, 포장디자인, 환경디자인, 시각디자인
    - 기준: 결과물이 어떤 물리적 형태나 시각적 표현을 갖느냐로 결정됨.
    - 초점: 디자인된 결과물 자체의 형태, 기능, 구조 등.
② 디자인이 지향하는 가치에 따른 분류 : 유니버설디자인, 에코디자인, 서비스디자인…
    - 기준: 디자인이 추구하는 근본적 가치, 철학, 목적이 기준임.
    - 초점: 결과물의 형태나 표현 방식이 아니라, 디자인 프로세스와 결과물이 지향하는 가치와 목적.
      어떤 가치를 지향하는 가에 따라 규정되는 디자인은 다음과 같은 개념들이 있다.

개념 지향 가치 설명
유니버설디자인 포용성 모든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
에코디자인 환경보존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지속가능성 추구
사용자중심디자인 사용자 편의성 사용자의 편의, 효율성, 만족도 향상
서비스디자인 고객 경험 고객의 경험과 가치를 최우선으로 설계


유니버설디자인이 추구하는 모든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는 가치와 기준은 제품디자인, 시각디자인, 환경디자인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비스디자인이 추구하는 가치와 기준이 구현된 제품디자인, 시각디자인, 환경디자인, 나아가 프로세스, 서비스가 있을 수 있다. 이런 개념들은 어떤 형태로도 그 가치가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한 ‘결과물이 구현된 형태’를 기준으로 규정할 수 없고 다른 차원의 분류 기준이 필요하다. 
서비스디자인의 본질은 왜(목적), 누가(주체), 누구를 위해, 어떤 경험을 설계하는가에 있다. 이는 서비스디자인이 특정 형태가 아닌, 문제 해결과 가치 창출을 목표로 하는 경험 중심적·프로세스 중심적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비스디자인 분류는 결과물이 아닌 '목적', '주체', 그리고 '설계되는 경험'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서비스디자인은 목적과 주체에 따라 가치의 우선순위가 크게 달라진다. 공공부문은 보편적 공익과 사회적 형평성을 추구하며 정부, 지자체 등 공적 주체가 중심이 되는 반면, 민간부문은 고객 만족과 시장 경쟁력을 중심으로 민간기업과 시민사회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한다. 이러한 근본적 차이를 고려하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구분하는 것이 한국의 정책 환경과 산업구조에서 가장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접근이다.

  • 공공부문 : 공익적 목적(공공성, 평등성, 신뢰성 등)을 추구하며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이 제공 주체가 됨
  • 민간부문 : 시장 경쟁력과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민간기업, 비영리단체, 시민사회 등 다양한 주체가 제공 (민관협력 등 사회적 가치 지향 서비스 포함)

한편, OECD, EU, UN COFOG(Classification of the Functions of Government) 등 국제기구에서는 서비스 영역을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1. 공공부문(Public sector) : 제공 주체가 정부 및 공공기관임
2. 사회부문(Social sector) : 제공 주체가 정부, 민간, 시민사회가 협력하여 서비스를 제공함
3. 민간부문(Private sector) : 제공 주체가 주로 민간기업이며, 시장 경쟁과 이윤추구가 주요 목적인 영역
국제적으로는 공공부문, 사회부문, 민간부문의 삼원적 구분이 일반적이나, 한국의 사회서비스 환경은 민관협력 모델이 활발히 발전하면서 사회부문이 민간의 사회적 가치 창출 활동과 밀접히 연계되어 있다. 또한 한국에서는 사회적경제 기업과 비영리조직들이 주로 민간 영역에서 서비스 혁신과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 있어 민간부문으로 통합하는 것이 현실적 관리 및 정책지원 효율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이 문서에서는 국내의 실정과 활용성을 고려하여 사회부문을 민간부문에 포함하고, 크게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만 구분하여 설명한다.

I. 공공

공공부문에서 서비스디자인이 제공하는 가치와 영향력은 디자인의 역할, 수요시장, 수요자 특성이라는 세 가지 기준을 통해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음.

분류 기준 의미
① 디자인의 역할에 따른 분류
(디지털혁신, 정책디자인, 공공서비스디자인)
공공에 서비스디자인이 어떤 역할로 기여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정부가 서비스디자인 도입시 기대효과를 분명히 할 수 있도록 함.
② 수요 영역에 따른 분류
(보건의료, 교육, 사회복지, 환경, 교통 등)
공급자(정부)의 관점에서 서비스디자인이 실제 적용되는 다양한 정책 분야를 정부 기능에 따라 구분함
③ 수요자 특성에 따른 분류
(보편적 서비스, 특수 수요자 서비스)
수요자의 관점에서 해당 정책/서비스가 일반 시민을 위한 것인지, 특수한 지원이 필요한 대상을 위한 것인지를 기준으로 분류함. 


공공부문 서비스디자인의 세 분류는 개별적인 영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현상을 이해하는 서로 다른 관점, 개념적 틀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상호 보완적이며 통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
정책이나 서비스디자인 사업을 구상할 때 다음과 같은 단계적 접근을 통해 정책 목표와 기대효과를 더욱 명확히 설정할 수 있음.
① 서비스디자인의 수행할 '역할'(디지털혁신, 정책디자인, 공공서비스디자인)을 명확히 결정함.
② 결정된 역할을 기반으로 실제 적용될 정책 '분야'(보건의료, 교육, 사회복지 등)를 명시함.
③ 정책/서비스의 수혜자인 '수요자 대상'(보편적 서비스 대상 또는 특수 수요자)을 정확히 함.

1. 공공부문 서비스디자인 - 디자인의 역할에 따른 분류

공공부문에서 서비스디자인의 역할은 크게 ‘디지털혁신’, ‘정책디자인’, ‘공공서비스디자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디지털혁신’은 정책과 개별 서비스 모두를 포괄하여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정책 기반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른 두 분류와는 다소 차원이 다르다. ‘정책디자인’과 ‘공공서비스디자인’은 정책 수립에서 개별 서비스 실행까지 연속적이고 상호보완적인 관계이다. ‘정책디자인’은 사용자 중심의 접근을 통해 정책 의사결정과 협력을 촉진하는, 제공자 내부에서 일어나는 활동이고, ‘공공서비스디자인’은 개별 사업 단위에서 구체적인 서비스 개선과 사용자 경험 향상을 목표로 실행되는 활동이다.

분류 설명 대표 사례
디지털혁신 공공서비스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시민이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서비스 경험을 디자인하는 영역 민원24 앱
영국 Gov.uk 디지털 정부 포털 구축 사례(UK Government Digital Service, 2022)
정책디자인 정부 내부에 디자인 전문가가 참여하여, 시민 관점에서 정책을 개발·실험하고 의사결정의 품질을 높이는 영역 영국 폴리시랩(Policy Lab)의 사용자 중심 정책디자인 사례(UK Government, 2022)
덴마크 마인드랩(MindLab)의 정책실험 사례(OECD OPSI, 2019)
공공서비스디자인 개별 공공서비스(행정·복지·교통 등)를 국민 입장에서 새롭게 디자인하여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를 높이는 영역 국민디자인단 과제들, 장애인 콜택시, 주민센터 개선 프로젝트
미국 보훈부(Veterans Affairs)의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 사례(Digital.gov, 2022)

호주 NSW 주정부의 민원서비스 리디자인 사례(NSW Government, 2021)

* 출처 :
Design Council (2013) – Public Sector Design Ladder
영국 디자인카운슬은 공공부문에서 디자인 적용 수준을 다음의 세 가지 단계로 분류함. 이 분류는 공공부문에서 디자인의 역할과 영향력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
- 서비스디자인: 개별 서비스 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 적용
- 조직 역량 구축: 공공기관 내부의 디자인 역량 강화
- 정책디자인: 정책 수립 과정에 디자인 사고와 방법론 적용​

OECD – Observatory of Public Sector Innovation (OPSI)
OECD는 공공부문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서비스디자인을 다음과 같이 정의함.
- 서비스디자인은 디자인 사고에 기반하며, 서비스 사용자와 제공자 간의 협업을 통해 서비스 전반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개선을 추구함.​ OPSI는 다양한 국가의 사례를 통해 공공서비스 혁신에 서비스디자인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분석함.​

Service Design Network (SDN) – Public Sector Impact Report
서비스디자인네트워크는전 세계 정부와 공공서비스 조직에서의 서비스디자인 활동을 포괄적으로 다룬 이 보고서에서 공공부문에서 서비스디자인의 영향력을 다음과 같이 강조하고 있음.
공공서비스의 이해와 수용도를 높이며, 시민의 신뢰를 구축함.
디자이너와 공무원 간의 협업을 통해 효과적인 서비스 개선을 도모함.​

2. 공공부문 서비스디자인 - 수요 영역에 따른 분류

분류 설명 대표 사례 및 출처
보건의료 병원, 공공보건 프로그램 등 의료서비스 전반의 경험과 접근성 향상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영국 NHS 병원 환경 및 서비스 개선 사례 – Design Council: Redesigning NHS places and spaces
교육 학교 및 교육기관에서 학습 환경과 과정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서비스디자인 핀란드 교육부의 'Experimentation Lab' 프로젝트 – OECD OPSI: The Experimentation Lab
사회복지 노인,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대상 복지 서비스의 접근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덴마크 MindLab의 사회복지서비스 개선 사례 – The GovLab: MindLab: The evolution of a public innovation lab
국방 및 공공안전 국방, 경찰, 재난 대응 서비스 등 공공안전 분야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디자인 미국 FEMA의 사용자 중심 재난 대응 서비스 디자인 사례 – Digital.gov: Building Trust with Users Through Open Communication and Feedback
환경 및 도시계획 지속가능한 도시계획, 공공공간의 디자인 개선을 통한 시민 삶의 질 향상 서비스디자인 스웨덴 말뫼(Malmö)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 MOEVE Global: Malmö: the Swedish miracle that transformed an industrial city into a sustainable hub
교통 및 인프라 도로, 대중교통 등 공공 인프라 서비스의 접근성과 편의성 향상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영국 런던교통공사(TfL)의 교통서비스 디자인 사례 – Design Council: Redesigning Mobility for Sustainable and Inclusive Futures
문화 및 여가 박물관, 도서관 등 문화시설과 공공여가서비스의 시민경험 향상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호주 빅토리아주 공공도서관 사용자경험 개선 프로젝트 – Synergy: Redesigning Services at the State Library Victoria

* 위 분류는 표준 분류체계인 유엔 COFOG(Classification of the Functions of Government. 정부기능분류)는 UN이 공식적으로 정한 정부 기능에 대한 글로벌 표준. OECD, EU, 각국 통계청 등 주요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가 실제로 예산 편성과 성과 평가에 이 분류를 활용하고 있음.
* 표기되지 않은 분야는 다른 언급된 분야 대비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는 것이지 서비스디자인의 수요 영역이 아니라는 의미가 아님

3. 공공부문 서비스디자인 - 수요자 특성에 따른 분류

분류 설명 및 사례
보편적 서비스 (일반 국민 대상) 모든 시민이 일상적으로 경험하고, 누구나 편리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공공서비스.
예: 주민센터 민원서비스, 여권발급, 공공도서관 이용, 버스·지하철 같은 대중교통 서비스 등
특수 수요자 대상 서비스 특별한 지원이 필요한 특정 대상이나 특수한 상황에 처한 사람들을 위해 맞춤형으로 디자인하는 공공서비스.
예: 장애인을 위한 이동지원(장애인 콜택시), 저소득층을 위한 주거지원 서비스, 고령자를 위한 돌봄서비스, 영유아를 위한 보육서비스, 미혼모 및 범죄피해자 지원 서비스, 재난 상황에서의 긴급구호 서비스, 범죄자의 교정·교화 서비스(보호관찰, 교정시설의 사회복귀 프로그램 등) 등

 

II. 민간

서비스디자인이 민간부문에 제공하는 가치와 영향력에 대해서도 디자인의 역할, 수요시장, 수요자 특성이라는 세 가지 기준을 통해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1. 민간부문 서비스디자인 - 디자인의 역할에 따른 분류

구분 설명 사례 및 출처
조직 내부 혁신 및 역량 강화 서비스디자인을 통해 조직 내부 프로세스, 문화, 구조를 혁신하여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함 메이요클리닉 혁신센터(CFI)의 서비스디자이너 채용, 혁신 구조 구축 사례 (Yale School of Management, 2017: 링크)
비즈니스 모델 혁신 서비스디자인으로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고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하여 경쟁력을 높임 스키폴 공항(Light as a Service) 사용량 기반 과금 서비스 사례 (Philips Signify, 2015: 링크)
고객경험 중심의 제품/서비스 개발 사용자 니즈 중심의 서비스 개발 및 혁신으로 고객 충성도와 시장 경쟁력을 확보함 BOA(Bank of America)의 'Keep the Change' 소비 연동 저축 서비스 사례 (IDEO Design Thinking 사례집, 2018: 링크)

 

2.  민간부문 서비스디자인 - 수요 영역에 따른 분류

산업 분류 설명 사례 및 출처
제조업 (Servitization) 제품 중심에서 서비스 중심으로의 전환을 통해 고객에게 지속적인 가치를 제공함. GE의 디지털 윈드팜: IoT 센서와 고급 분석을 활용하여 풍력 터빈의 성능을 최적화함. 출처
모빌리티 및 교통 통합된 교통 솔루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한 이동 경험을 제공함. Tesla의 차량 내 디지털 서비스: 차량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유지보수를 지원함. 출처
금융 및 보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 맞춤형 금융 상품 및 서비스를 개발함. Bank of America의 Keep the Change 프로그램: 구매 금액을 반올림하여 차액을 저축 계좌로 이체하는 서비스. 출처
정보통신 및 디지털 플랫폼 플랫폼 기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중심의 경험을 제공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함. Uber의 차량 호출 서비스: 사용자와 운전자를 연결하는 플랫폼 서비스. 출처
유통 및 커머스 옴니채널 전략을 통해 고객 경험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구매 과정을 제공함. Amazon의 원클릭 주문 시스템: 고객이 한 번의 클릭으로 구매를 완료할 수 있는 시스템. 출처
헬스케어 및 웰니스 환자 중심의 서비스디자인을 통해 의료 서비스의 품질과 접근성을 향상시킴. Philips의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환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치료 품질을 향상시킴. 출처
관광 및 숙박 고객의 여행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맞춤형 서비스와 디지털 솔루션을 제공함. Airbnb의 숙박 공유 플랫폼: 사용자 중심의 숙박 예약 경험을 제공함. 출처
미디어 및 콘텐츠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 참여를 유도함. Netflix의 추천 알고리즘: 사용자 선호도를 분석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함. 출처
교육 및 학습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함. Duolingo의 언어 학습 앱: 게임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하여 사용자 참여를 유도함. 출처
부동산 및 공간 서비스 사용자 중심의 공간 설계를 통해 주거 및 업무 환경의 품질을 향상시킴. WeWork의 공유 오피스 디자인: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사무 공간을 제공함. 출처
공유경제 서비스 사용자 경험 중심의 서비스디자인이 핵심 경쟁력을 결정하는 산업 쏘카, 킥고잉(공유모빌리티)
식음료 산업(F&B) 브랜드 경험 및 고객 맞춤형 서비스가 필수적이며 서비스디자인을 통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산업 스타벅스의 맞춤형 음료 및 로열티 앱 서비스
패션 및 뷰티 개인화된 경험, 온라인/오프라인 채널 융합, 서비스 혁신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산업 세포라(Sephora)의 옴니채널 맞춤형 고객경험
엔터테인먼트 고객 참여형 서비스, 몰입형 콘텐츠를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으로 설계할 경우 산업적 가치 창출 가능 디즈니랜드의 경험 중심 테마파크 디자인
스포츠 및 피트니스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인 맞춤형 피트니스 및 웰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산업 펠로톤(Peloton)의 디지털 홈 피트니스 서비스
스마트홈·IoT 서비스 사용자 친화적이고 직관적인 스마트홈 서비스 경험 디자인을 통해 차별화를 이루는 산업 구글 네스트(Google Nest)의 사용자 중심 홈서비스
물류 및 배송 서비스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 경험 혁신을 결합하여 효율성과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산업 쿠팡 로켓배송, 아마존 프라임 배송 서비스

민간부문의 서비스디자인 산업 분류는 시장의 규모와 성장 잠재력, 서비스디자인의 영향력이 실증된 분야를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특히 고객 경험과 개인화된 서비스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산업, 디지털 기술의 확산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 기존 제조업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전환이 뚜렷한 산업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이는 OECD와 EY 디자인 스튜디오 등 국제적 서비스디자인 사례 보고서의 산업 선정 기준을 바탕으로 한국적 맥락을 반영하여 재구성한 결과이다.
* OECD, EY Design Studio, Service Design Network 사례 보고서 기준 : 서비스디자인 적용 잠재력, 서비스 중심으로의 전환(Servitization) 가능성, 디지털 혁신 및 고객 중심 혁신의 활성화
* 제외된 산업은 다른 언급된 산업 대비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는 것이지 서비스디자인의 수요시장이 아니라는 의미가 아님
제외된 산업 예 : 에너지, 중공업 등 자본집약적 제조업 - 고객 서비스와 경험보다는 기술적, 자본집약적 요소가 지배적이어서 서비스디자인 영향력이 제한적일 수 있음.
1차산업(농업, 임업 등) - 서비스 중심의 혁신보다는 생산 효율성과 물류 중심이어서 서비스디자인 적용이 제한적일 수 있음.

3. 민간부문 서비스디자인 - 수요자 특성에 따른 분류

수요자 분류 설명 사례
일반 소비자 (B2C) 일반적인 소비자들이 일상에서 경험하는 제품 및 서비스로, 광범위한 고객층을 대상으로 사용자 중심적 서비스 경험 설계 스타벅스의 모바일 앱 주문 서비스
넷플릭스의 맞춤형 콘텐츠 추천 서비스
기업 소비자 (B2B) 기업과 기업 간의 거래와 협력을 촉진하는 서비스로, 고객사의 업무 프로세스와 사업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서비스 설계 IBM의 기업고객 맞춤형 IT 서비스 디자인
GE의 산업용 장비 유지보수 서비스
공공·비영리기관
(B2G/B2N)
정부 또는 비영리기관과 같은 공공적 성격의 조직을 대상으로 서비스 제공 팔란티어(Palantir)의 정부 기관 맞춤 서비스


B2C (Business to Consumer)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로, 대규모 시장을 상대로 개인의 니즈와 행동을 분석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
출처: Gartner의 고객 세분화 정의에서는 고객을 구매 방식에 따라 그룹화하여 특정 판매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강조함. Gartner
B2B (Business to Business)
기업 간 거래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로, 고객사의 업무 프로세스와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설계함.
출처: EY의 고객 경험 서비스에서는 고객 세분화를 통해 복잡한 시장에서 고객 세그먼트를 이해하고, 경험 중심의 세분화를 통해 가장 수익성 높은 고객을 타겟팅하는 것을 강조함. EY 미국
* 기타 :
프리미엄 고객 : 높은 구매력과 브랜드 충성도를 가진 고객층으로, 개인화되고 차별화된 고급 서비스를 제공함.
출처: EY의 2024년 로열티 시장 조사에서는 다양한 고객 세그먼트의 요구를 이해하고, 그에 맞는 로열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함. EY 미국
특수 수요 고객 : 장애인, 노인, 저소득층 등 특정한 요구나 제약조건을 가진 고객층으로, 세부적인 사용자 리서치와 개인화가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함.
출처: CleverTap의 니즈 기반 세분화 가이드에서는 고객의 특정 니즈와 경제적 가치를 기반으로 세분화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을 제시함. ​클레버탭


* 총괄표

구분 기준 공공부문 분류 민간부문 분류
역할에 따른 분류 서비스디자인이 어떤 역할로 기여하는지 - 디지털 혁신
- 정책디자인
- 공공서비스디자인
- 조직 내부 혁신 및 역량 강화
- 비즈니스 모델 혁신
- 고객경험 중심의 제품/서비스 개발
수요 영역에 따른 분류 서비스디자인이 적용되는 분야 및 산업 - 보건의료
- 교육
- 사회복지
- 국방 및 공공안전
- 환경 및 도시계획
- 교통 및 인프라
- 문화 및 여가
- 제조업(Servitization)
- 모빌리티 및 교통
- 금융 및 보험
- 정보통신 및 디지털 플랫폼
- 유통 및 커머스
- 헬스케어 및 웰니스
- 관광 및 숙박
- 미디어 및 콘텐츠
- 교육 및 학습
- 부동산 및 공간 서비스
- 공유경제 서비스
- 식음료 산업(F&B)
- 패션 및 뷰티
- 엔터테인먼트
- 스포츠 및 피트니스
- 스마트홈·IoT
- 물류 및 배송 서비스
수요자 특성에 따른 분류 서비스 이용 대상자의 특성 - 보편적 서비스
(일반 국민 대상)
- 특수 수요자 서비스 (장애인, 고령자, 저소득층 등)
- 개인 소비자(B2C)
- 기업 소비자(B2B)
- 공공·비영리기관(B2G/B2N)
- 기타


2025.4.24. 윤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