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디자인(368)
-
정책디자인, 세계의 정책랩 4 : 캐나다 PHC, IIU
Policy Horizons Canada (PHC, 캐나다)Policy Horizons Canada (PHC)는 캐나다 정부 산하의 미래 예측 및 정책 혁신 조직으로, 미래 예측(Foresight)과 시스템 사고를 통해 장기적인 정책 과제를 연구하고, 공공 부문에 혁신적인 정책 제안을 하는 역할을 한다. 이 조직은 사용자 중심 접근법과 협업적 디자인 방법론을 사용해 미래의 정책 도전 과제에 대응하고 있다.소속: 캐나다 정부설립연도: 2011년목적: 미래 예측과 시스템 사고를 통해 캐나다 정부가 미래의 도전 과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정책을 디자인하고, 정부 정책 혁신을 촉진한다.주요 활동:미래 시나리오 기획을 통해 정책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적 트렌드를 분석정책 혁신 워크숍과 시민 참여 프로그..
2024.10.13 -
정책디자인, 세계의 정책랩 3 : 미국 Lab·OPM, USDS, 18F, MONUM
Lab·OPM (미국)Lab·OPM은 미국 인사관리국(Office of Personnel Management, OPM) 산하에 있는 혁신 정책랩으로, 연방 정부의 인적 자원 관리와 관련된 정책을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비스디자인과 디자인 씽킹을 통해 공무원들이 더 나은 공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특히 공공 부문에서 인적 자원 혁신을 주도한다.소속: 미국 인사관리국(Office of Personnel Management, OPM)설립연도: 2013년목적: 공공 부문의 인적 자원 관리를 혁신하여 공무원들이 더 효율적이고 사용자 중심의 공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 정책 설계와 실행 과정에서 사용자 중심의 접근을 채택하여, 공공 부문에서 혁신적 변화를 도모한다.주요 활동:공무원의..
2024.10.13 -
정책디자인, 세계의 정책랩 2 : 영국 폴리시랩, BIT
UK Policy Lab (영국)UK Policy Lab는 영국 내각 사무처 (Cabinet Office) 산하에 있는 정책랩으로, 정부 정책 설계에 서비스디자인과 디자인 씽킹을 활용해 사용자 중심의 정책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소속: 영국 정부 내각 사무처 설립연도: 2014년목적: 공공정책 설계에 창의적 방법론과 디자인 씽킹을 도입하여, 사용자 중심의 정책을 혁신하고 더 나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한다. 주로 시민의 요구와 경험을 반영해 정부 정책을 설계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주요 활동:공공 정책 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 워크숍과 협업 프로그램 운영사용자 경험(UX)을 분석하여 정책 설계 과정에 반영정책 메이커, 시민, 그리고 공무원이 협력하여 혁신적인 솔루션을 도출하는 프로젝트 추진특징..
2024.10.13 -
정책디자인, 세계의 정책랩 1 : 정책을 디자인하는 조직, 정책랩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정책랩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사회문제는 갈수록 복잡한 난제(Complex Wicked Problems)로 변모하고 있어 기존의 행정 체계로는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전통적 행정은 계층적이고 관료적이고 각자 역할에만 집중하는 경향으로 협력 부족, 정책 통합성의 부족을 야기한다. 이것은 복잡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를 갖는다. 예를 들어, 기후 변화, 공공 건강, 빈곤과 같은 다차원적인 문제는 부처 간 협력이 필수적이지만, 기존 방식으로는 이러한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공공정책의 전문가들은 그간 행정의 본질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를 해왔지만 그것이 쉽지 않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신공공관리(NPM New Public Management)는 행정분야에서 효율성 중심..
2024.10.13 -
보이지 않는 디자인을 보이게 하기: HSLU(루체른 응용과학예술대학) 서비스디자인 석사 과정을 알리는 방법
서비스디자인의 본질적인 특징 중 하나는 결과물이 물리적인 제품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전통적인 디자인 분야에서는 논문을 포함하여 디지털 결과물, 그래픽 디자인, 제품 디자인 등 다양한 형식의 결과물이 함께 나오며 평가와 검증 또한 주로 물리적 결과물에 바탕을 두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서비스디자인은 경험, 과정, 그리고 시스템의 설계를 중심으로 하는 비가시적 작업이 핵심이다. 이러한 이유로, 서비스디자인 학위 과정에서 생성된 비가시적 결과물을 대중에게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는 중요한 도전 과제가 된다.스위스의 HSLU(루체른 응용과학예술대학)는 이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보인다. 이 대학의 서비스디자인 석사 과정학생들은 학습한 내용을 가시화하여 대중과 공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학생..
2024.10.06 -
실험적 정책디자인 방법 - 영국 폴리시랩
정책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 영국 폴리시랩의 실험적 디자인 도구 영국의 폴리시랩 Policy Lab은 2014년 영국 정부의 정책 혁신을 위해 설립된 조직으로, 디자인 사고와 사용자 중심 접근법을 통해 정책 문제 해결에 혁신적인 접근을 시도해왔다. 이 기관은 정책 개발 과정에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방법들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정책 전문 기준에 반영함으로써 영국 정부 내 정책 개발 문화를 변화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폴리시랩은 2022년 5월 '실험적 정책 디자인 방법 카드'라는 이름으로 11개의 방법을 발표했다. 이 카드들은 공공정책 개발에 있어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 기존의 정책 개발 방식을 벗어나 보다 효과적이고 사람 중심적인 문제 해결을 도모하는 시도를 담고 있다. 이는 복잡한 사회 문제를 ..
2024.10.06 -
학생 서비스디자인 챌린지 2025(SSDC2025), 접수가 시작되었다!
학생 서비스디자인 챌린지 2025(SSDC2025)가 시작되었다!학생 서비스디자인 챌린지 2025(SSDC2025)는 차세대 디자이너들을 격려하고 영감을 주는 글로벌 디자인 어워드이다. 현재 대학, 아카데미 또는 컬리지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젊은 디자이너들이 사람 중심, 미래 지향적인 서비스를 설계하도록 지원한다. 이 챌린지는 지속 가능한 개발과 형평성 있는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학생들이 포용적이지 않은 비즈니스 모델과 낡은 디자인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제안하도록 장려한다.학생들은 인간 중심의 연구, 공동 창조, 시스템적 사고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과 도구를 적용해 솔루션을 개발하며, 이를 통해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각 팀은 코칭 및 멘토..
2024.10.05 -
공공서비스디자인하기: 공동디자인 기초 - NYC Opportunity
공공서비스디자인하기: 공동디자인 기초Civic Service Design: Co-Design 101공동디자인(Co-design) 실행과 그 중요성에 대한 간략한 가이드A brief guide to understanding the practice and importance of co-design이 글은 원문 저작처 허락 없이 번역 게재한 글입니다. 문제가 된다면 design@naver.com 으로 알려주세요. 삭제하겠습니다. 원문을 챗GPT로 번역하고 일부 수정하였습니다. 사진은 구글 이미지 번역 기능으로 번역하였습니다. 원본 글 출처 : Civic Service Design: Co-Design 101 Civic Service Design: Co-Design 101A brief guide to unders..
2024.10.01 -
사용자 관점에서 행정 서비스를 지원한다. 일본 디지털청 서비스디자이너의 역할
사용자 관점에서 행정 서비스를 지원한다. 디지털청 서비스디자이너의 역할. 디지털청. 2024.9.4.원문 : https://digital-gov.note.jp/n/n5c37b6c01cf2 최근 일본 디지털청 note에 게재된 서비스디자인 영역의 종사자 인터뷰 기사 전문을 소개합니다. 행정부 내의 서비스디자인 부서가 어떤 일을 하고 있고 공무원 서비스디자이너는 어떤 일을 하는지 잘 이해할 수 있는 글입니다. 원문 저작처인 일본 디지털청 허락 없이 번역 게재한 글입니다. 문제가 된다면 design@naver.com 으로 알려주세요. 삭제하겠습니다. 원문을 챗GPT로 번역하고 일부 수정하였습니다. 사진은 구글 이미지 번역 기능으로 번역하였습니다. 利用者目線で行政サービスを支える。デジタル庁のサービスデザイナーが果..
2024.09.29 -
일본 디지털청의 서비스디자인 활용이 우리나라에 주는 교훈
우리나라 공공부문에 필요한 변화우리나라 공공부문은 오랫동안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 설계로 인해 국민의 실제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정책과 서비스가 정부의 편의에 맞춰져 있다 보니, 국민들이 느끼는 불편함과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또한, 부처 간 협업 부족과 시스템의 비효율성은 공공 서비스의 혁신을 가로막는 주된 요인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 디지털청이 도입한 '서비스디자인' 사례는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원문 : '이용자 중심으로 행정 서비스를 혁신하다: 일본 디지털청의 서비스디자이너 역할', 일본 디지털청 공식블로그, 2024.9.4. 利用者目線で行政サービスを支える。デジタル庁のサービスデザイナーが果たす役割|デジタこの国に暮らす、すべての人がデジタル化の恩恵を享..
2024.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