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디자인(368)
-
디자인이 정부를 바꾸다: DRS 2024에서 본 정책디자인의 미래 - 안나영 한국디자인진흥원
2024년 6월 말, 미국 보스턴에서 열렸던 DRS 2024 컨퍼런스는 디자인과 정부의 만남을 보여주는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디자인계의 거장들과 정책 전문가들이 모여 디자인이 어떻게 정부와 공공 서비스 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안나영 한국디자인진흥원 안전디자인 팀장이 발표자로 참여했던 '정부의 디자인 연구 리더십 Design Research Leadership in Government' 세션은 정부 내에서 디자인 리더십이 어떻게 구현되고, 정책디자인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며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아래 글은 해당 세션에 참여했던 안나영 팀장의 DRS 2024 출장 결과보고서와 부서 동료를 대상으로 했던 행사 참관 공유회의 ..
2024.09.24 -
공공 및 사회 혁신에서의 디자인: 무엇이 효과적이며, 어떻게 더 나아질 수 있을까 - 제프 멀건, 2014. 1.
원문 출처 : https://www.nesta.org.uk/report/design-in-public-and-social-innovation/* 이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번역 게재한 것임을 알립니다.공공 및 사회 혁신에서의 디자인무엇이 효과적이며, 어떻게 더 나아질 수 있을까Design in Public and Social InnovationWhat works and what could work better제프 멀건, 2014. 1. NESTA 보고서전 세계적으로 디자인 방법을 활용하려는 수많은 시도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시도는 공공 및 사회 혁신을 진전시키고, 기존 구조와 방법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창의적인 해결책을 달성할 것이라는 희망을 담고 있다. 일부 동력은 독특한 방법을 제공하는 회사들에서..
2024.09.22 -
서비스디자인 팟캐스트
서비스디자인 팟캐스트 https://www.servicedesignpodcast.com/서비스디자인 팟캐스트는 2016년 9월에 시작된 서비스디자인 전문 팟캐스트이다. 전 세계의 다양한 실무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최신 서비스 디자인 동향과 실질적인 사례를 소개한다. UX, 디자인 씽킹, 시스템 디자인 등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며, 서비스 디자이너들에게 유용한 인사이트와 실무 지식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청취자들은 실제 프로젝트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팁과 영감을 얻을 수 있다. 현재 팟캐스트는 Knight Moves Belgium의 서비스디자이너 Laurens Somers와 Jeroen Depuydt가 진행한다. 시작 배경 및 목적서비스디자인 팟캐스트는 서비스 디자인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실무자들..
2024.09.20 -
인간 중심 디자인 필드가이드 - IDEO
인간 중심 디자인 필드가이드 - IDEOhttps://www.designkit.org/* 자료 제공 : MYSC https://www.mysc.co.kr/ 현존하는 서비스디자인 툴킷 중 최강이라 할만하다. 전 세계적으로 지금까지 141,000회 이상 다운로드 또는 구매되었다. 이 가이드는 주로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인간 중심 디자인(Human-Centered Design)을 적용하는 실무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57가지 디자인 방법론을 제공하며, 초보자와 숙련자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아래는 디자인DB에 소개된 내용을 그대로 발췌한 것이다.------인간 중심 디자인을 위한 현장 가이드를 담은 본 도서는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IDEO.org가 디자인하고 집필하였습니다...
2024.09.18 -
LUMA 혁신 시스템 (The LUMA System of Innovation)
LUMA 혁신 시스템 The LUMA System of Innovationhttps://www.luma-institute.com/about-luma/luma-system/LUMA System은 인간 중심 디자인(Human-Centered Design, HCD) 기반의 툴킷으로, 혁신을 위한 36개의 디자인 방법론을 포함하고 있다. 이 툴킷은 문제 정의, 아이디어 도출, 솔루션 개발 및 실행까지 전 과정을 포괄하며, 특히 디자인 씽킹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비즈니스와 공공 부문에서 혁신적 솔루션을 개발할 때 널리 사용되고 있다.주요 특징, 장점포괄적 디자인 프로세스: LUMA System은 디자인 씽킹의 전 과정을 포함한 종합적인 툴킷으로, 문제 해결 과정의 모든 단계를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다양성: LU..
2024.09.18 -
협업 툴킷 - 프로그디자인
협업 툴킷 - 프로그디자인frog Collective Action Toolkit frog Collective Action Toolkit (CAT)는 2012년에 frog design에 의해 개발된 집단적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적인 툴킷이다. 이 툴킷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협력하여 혁신적인 솔루션을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한 26개의 방법론을 담고 있다. 커뮤니티 기반 프로젝트에서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며, 협업과 팀워크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이 툴킷은 협업과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고 있어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에 필요한 활동을 전방위적으로 포괄하는 도구 모음으로 보기는 어렵다. 서비스디자인의 도구, 예를 들어 페르소나, 서비스블루프린트, 고객여정맵과 같은 도구는 포함되지 않았다. 주요 특징집단적 ..
2024.09.18 -
DIY Toolkit - Nesta
사회혁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툴킷 DIY(Development Impact & You) 이 툴킷은 더 나은 결과를 창출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발명, 채택, 또는 적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빠르게 사용할 수 있고, 적용하기 쉬우며, 개발 분야에서 일하는 바쁜 사람들을 돕기 위해 설계되었다. 현재 사용 중인 수백 개의 도구들을 연구하여, 실제 실무자들이 가장 유용하다고 판단한 것들만 포함했다. 그중 다수는 잘 문서화되어 있으며 다른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그런 점에서 이 툴킷은 기존의 뛰어난 작업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인정하게 되어 기쁘다. 모든 도구 설명에는 주요 참고 자료가 포함되어 있어, 그 출처를 쉽게 추적하고 적용에 대한 추가 자료를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다.이 툴킷은 네스타(Nes..
2024.09.17 -
아틀라시안 팀플레이북 - 강한 팀을 만드는 실행법 모음
아틀라시안 팀플레이북 - 강한 팀을 만드는 실행법 모음 Atlassian Team Playbook – Build Strong Teams with Plays 아틀라시안 팀플레이북은 팀 기반 문제 해결과 협업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툴킷으로, 팀이 강력하고 효율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이자 프로젝트 관리 도구다. 애자일(Agile), 린(Lean),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등의 방법론을 결합해 업무 환경에서 효과를 검증한 도구들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플레이북이 서비스디자인 도구 모음으로 소개되고 있지는 않지만 팀 내 협업과 다학제적 협력이 중요한 서비스디자인 과정에서 Problem Framing, Brainstorming, Retrospective 같은 도구를 활용 가능하다. 일..
2024.09.17 -
서비스디자인 플레이북 - 영국 법무부
영국 법무부 디지털 및 기술 부서에서 만든 서비스디자인 플레이북은 공공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 서비스디자인 접근 방식을 체계화한 가이드다. 이 플레이북은 서비스디자이너들이 정부 내에서 일관된 방식으로 서비스를 디자인하게 돕고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통해 공공 서비스의 접근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서비스디자인의 원칙: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강조하며, 사용자의 요구를 최우선으로 모든 디자인 결정을 할 것을 권고한다.디자인 프로세스: 문제 정의, 아이디어 구상, 프로토타입 제작, 테스트 및 개선 등의 전형적인 디자인 단계들을 포함하며, 각 단계에서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는 방법을 설명한다.협업: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시민, 공공기관 직원 등)과의 협업을 통..
2024.09.17 -
서비스디자인컨설팅 활용가이드북 + 서비스디자인 툴 레퍼런스북 (서비스디자인 툴킷) - 한국디자인진흥원, 2013
서비스디자인컨설팅 활용가이드북 서비스디자인은 넓게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사람과 서비스 시스템의 상호작용, 좁게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서비스 채널간의 상호작용 관계를 분석하고 그로부터 서비스를 계획하고 디자인하는 행위를 말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는 고객(또는 서비스 참여자)의 요구사항을 이해하는데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자료에서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서비스디자인의 방법론에 관한 프레임워크와 툴킷을 다루고 있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서비스디자인은 서비스의 본질적 특성으로 인해 전통적인 산업디자인 방법론과는 차별화된 방법론적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자료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을 위한 방법론이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
2024.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