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디자인이야기

분석-합성 연결 모델 (확산과 수렴의 반복 모델?) - 휴 더벌리 외. 2008.

SERVICE DESIGN 2024. 2. 24. 09:12

주: 영국 디자인카운슬의 디자인프로세스 모델은 확산과 수렴의 반복(Discover확산 - Define수렴 - Develop확산 - Deliver수렴)입니다. '확산'은 다양한 증거를 탐색하는 것(Discover)을 의미하기도 하고 많은 변형을 개발해 내는 것(Develop)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아래 소개하는 글에서 말하는 분석(Analysis)을 '확산'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전통적으로, 분석은 정보를 분해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디자인 프로세스에서의 '확산' 단계는 아이디어를 넓히고 가능성을 탐색하는 단계이며, 그러한 목적을 감안한다면 이는 분석 단계에서 수행되는 활동과 일치할 수 있습니다. 분석에서는 다양한 데이터와 정보를 조사하고 분류하여, 문제의 본질을 깊이 이해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정보의 범위를 넓히고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는 '확산'의 측면이 포함될 수 있다고 보기에 이 번역본에는 '확산과 수렴의 반복 모델'이라고 제목을 붙였습니다. 아무래도 이해하기 쉬운 면이 있으니까요. 하지만 이것은 저자의 의도와는 관계가 없음을 밝힙니다.


* 이 글은 휴 더벌리, 셸리 에븐슨, 릭 로빈슨이 2008년 3월 1일 Interactions 매거진에 기고한 글입니다.

디자인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분석과 종합의 두 단계로 나누는 것입니다. 또는 준비와 영감이라고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설명에는 디자인의 핵심인 두 단계 사이의 연결,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능동적으로 이동하는 과정, 즉 전환 또는 변형이라는 중요한 요소가 빠져 있습니다. 디자이너는 분석에서 종합으로 어떻게 이동할까요? 문제에서 해결책으로? 현재 상황에서 바람직한 미래로? 연구에서 콘셉트로? 구성요소의 요구에서 제안된 대응으로? 맥락에서 형태로?

디자이너는 이 간극을 어떻게 메울까요?
연결 모델은 분석에서 종합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대한 한 가지 사고 방식, 즉 연구 결과를 구성하기 위해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미래를 구성하는 기초로 작용하는 방식을 보여줍니다. 이 모델은 "그러면 다른 일이 일어난다"는 것 이상의 것을 말해줍니다. 이는 디자이너와 연구자가 시간을 통해 다음 원하는 상태로 나아가기 위해 분석의 단계를 어떻게 올라가는지 보여줍니다. 그리고 모델은 그 이동을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브리지 모델은 2×2 행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왼쪽 열은 분석(문제, 현재 상황, 조사, 구성원의 요구, 콘텍스트)을 나타냅니다. 오른쪽 열은 종합(해결책, 바람직한 미래, 개념, 제안된 대응, 형태)을 나타냅니다. 맨 아래 줄은 우리가 살고 있거나 살 수 있는 구체적인 세상을 나타냅니다. 맨 위 줄은 우리가 상상하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추상화, 현재 또는 미래에 대한 모델을 나타냅니다.


분석-합성 브리지 모델

1_분석-합성

이상적으로 디자인 프로세스는 왼쪽 아래 사분면에서 관찰과 조사, 즉 현재 상황에 대한 인벤토리(또는 설명)로 시작됩니다. 프로세스가 진행됨에 따라 왼쪽 위 사분면으로 이동합니다. 수집한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을 강조하거나 익숙한 도구를 사용하여 정렬, 우선순위 지정, 순서를 정하는 등 분석을 통해 조사에 대한 의미를 부여합니다. 현재 상황의 틀을 잡되 엄밀히 말하면 구체적이지 않습니다. 문제를 정의합니다. 해석합니다. 분석은 현재에 대한 사려 깊은 성찰로 시작하여 가능성에 대한 대화로 이어집니다. 진전을 위해 중요한 것은 분석을 문서화하고 시각화하여 다시 돌아올 수 있게 하고, 대안을 상상할 수 있게 하며, 궁극적으로 우리의 프레임과 정의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토론하고 동의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발견한 결과의 목록을 적거나 문제를 정의하는 문장을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더 좋은 방법은 스토리를 쓰는 것입니다. 스토리는 행위자와 행동을 묘사하고, 시각적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관계를 제시합니다.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한 이야기는 우리 연구의 해석에 대한 모델을 제시합니다. 공유된 표현에 도달하는 과정은 개인의 사고를 외부화하며 여러 분야와 이해관계자 간에 신뢰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현재 상황에 대한 모델(현재 상황의 틀, 문제 정의)에 합의하면 동전의 다른 면(바람직한 미래, 해결책)이 암시됩니다. 해석은 "일상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고, 더 좋아질 수 있고, 새로워질 수 있는지[1] 보여주는 방식으로 일상에 대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우리는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고안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모델과 관련하여 대안을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른쪽 위 사분면으로 이동하여 다음과 같은 모델을 사용하고 개발할 수 있습니다.
무엇이 될 수 있는지. 분석과 종합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것은 바로 모델을 통한 추상화의 영역입니다. 이러한 모델은 가설, 추측, 우리가 시작한 구체적인 것에 대한 상상된 대안이지만, 그 자체로 추상적입니다. 이 시점에서 모델을 가지고 '놀기', 테스트 및 탐색하기는 쉽습니다. 하지만 디자인은 작업을 구체로 되돌려 사물을 현실로 만들고, 모델을 프로토타입이나 완성된 형태로 실현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오른쪽 아래 사분면입니다. 물론 반복을 통해 결과는 개선됩니다. 새로운 프로토타입을 테스트, 추가 관찰 및 조사에 제출하고, 사분면을 계속 돌면서 작업을 학습하고 개선합니다. 브리지 모델에는 몇 가지 선례와 변형이 있습니다.



로빈슨 모델

2_robinson_model

브리지 모델은 지난 몇 년 동안 개인적인 논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릭 로빈슨은 "그 사이의 공간" 연구와 개념에 대해 글을 썼습니다. 그는 인류학자 클리포드 거츠의 에세이 '딥 플레이: 발리 닭싸움에 관한 메모'를 연구로부터 모델을 추상화한 사례로 설명하며, 다른 형태의 연구와 디자인이 설명에서 해석을 거쳐 적용으로 나아가는 움직임과 매우 유사하다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딥 플레이]의 구성은 게르츠가 발리 닭싸움에서 무엇이 중요한지 보여줄 수 있는 렌즈가 되고, 그의 동료들은 축구 경기에서의 팬 폭동[1]과 같은 것에서 중요한 근본 요인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비어 모델

3_beer_model

과학과 경영의 관계에 대해 글을 쓴 스태포드 비어는 사례에서 합의로, 특수에서 일반으로 이동하는 보다 정교한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여러 단계의 모델이 관련되어 있다고 지적합니다[2].

 

알렉산더 모델

4_alexander_model

크리스토퍼 알렉산더는 경력 초기에 6단계로 구성된 모델을 설명했습니다. 이 모델은 두 가지 중요한 측면에서 브리지 모델과 다릅니다. 첫째, 알렉산더는 정신적 그림(모델)과 정신적 그림의 형식적 그림(모델의 표현)을 명시적으로 구분합니다. 둘째, 그의 모델 개념은 (적어도 그 당시에는) 매우 수학적이었다는 점입니다[3].


쿠마르 모델

5_KUMAR_MODEL

비제이 쿠마는 혁신 프로세스의 모델을 제안했습니다.[4] 그는 연구부터 "통찰력 구성", "개념 탐색", "계획 세우기"로 이어지는 2×2 매트릭스로 모델을 구성했습니다. 그는 "'인사이트 구성하기'는 주로 설명적 모델링에 관한 것으로, 우리가 현실에 대해 인식하는 패턴에 대한 추상적인 정신적 그림을 만드는 것입니다. '개념 탐색하기'와 '계획 세우기'는 규범적 모델링에 관한 것입니다." 브리지 모델이 모델의 역할을 앞세운다면, 쿠마르의 모델은 모델링을 활용하는 단계를 앞세웁니다. 그는 최근 '혁신 프로세스'의 단계를 일련의 방법으로 매핑한 멋진 포스터를 발표했습니다.


카이저-IDEO 모델

6_kaiser-IDEO

이 기사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인터랙션의 공동 편집자 리처드 앤더슨이 이 혁신 프로세스 모델을 지적했습니다. 크리스티 주버는 카이저 퍼머넌트의 혁신 센터(IDEO와 협력)가 2004년에 카이저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든 혁신 툴킷의 일부로 이 모델을 개발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 모델은 쿠마르의 모델과 유사하지만, 카이저 모델은 스토리텔링과 브레인스토밍을 주요 방법으로 강조합니다.


수리-IDEO 모델

7_suri-IDEO

카이저-IDEO 모델의 기원에 대한 질문에 대해 제인 풀턴 수리는 종합에서 전략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 최신 모델을 제공했습니다. 이 모델은 Robinson 모델과 동일한 기본 구조를 공유하지만, 다른 모델에서는 오른쪽 열로 표시되는 종합이 여기서는 왼쪽 열로 표시됩니다. 패턴과 원리 사이의 연결고리로서 모델을 구성하는 것은 유용한 추가 사항입니다[5].

실무자와 교육자들이 점점 더 모델을 활용하고 있지만, 업무 프로세스의 공개 요약에서 모델링의 역할을 전면에 내세우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모델링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디자인을 형태 제작의 세계로 제한하고 상호작용과 경험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특히 소프트웨어, 서비스 및 기타 복잡한 시스템을 설계할 때 모델링은 실무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고 있습니다.
브리지 모델은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모델링의 역할을 명시적으로 보여줍니다. 명시적 모델링은 적어도 두 가지 측면에서 유용합니다. 
첫째, 팀원들이 시스템의 요소와 이러한 요소가 서로 및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동의하도록 유도하여 설계 프로세스를 가속화합니다. 
둘째, 요소와 요소 간의 상호 작용을 가시화함으로써 관점의 차이를 간과하여 결국 프로젝트를 망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입니다.

명시적 모델링은 디자인 프로세스의 확장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를 통해 디자이너는 더 크고 복잡한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으며, 더 크고 복잡한 조직과 함께 작업하는 프로세스를 더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디자인에서 모델링의 역할을 논의하는 것은 모델을 사용하는 다른 분야와의 비교와 상호 작용을 유도하기도 합니다. 이상적으로 모델을 사용하는 실무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델 전반에서 디자인 실무를 발전시킬 수 있는 패턴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원문 논문 PDF 다운로드


조앤 멘델과 얀 예거는 <디자인 실무에서의 지식 시각화>라는 글에서 다리 모델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1]: http://piim.newschool.edu/journal/issues/2010/03/pdfs/ParsonsJournalForInformationMapping_Mendel-Joanne+Yeager-Jan.pdf "디자인 실무 지식의 시각화"(Knowledge Visualization in Design Practice)

이 글의 원문 출처 : Dubberly Design Office https://www.dubberly.com/articles/interactions-the-analysis-synthesis-bridge-model.html

 

The Analysis-Synthesis Bridge Model

*Written for Interactions magazine by Hugh Dubberly, Shelley Evenson, and Rick Robinson.* The simplest way to describe the design process is to divide it into two phases: analysis and synthesis. Or preparation and inspiration. But those descriptions miss a

www.dubberly.com


deepl로 번역  https://www.deepl.com/translator 


* 관련 글 : 어떻게 디자인하시나요? - Hugh Dubberly (디자인 프로세스 총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