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디자인/서비스디자인 소식(178)
-
정책디자인, 세계의 정책랩 1 : 정책을 디자인하는 조직, 정책랩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정책랩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사회문제는 갈수록 복잡한 난제(Complex Wicked Problems)로 변모하고 있어 기존의 행정 체계로는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전통적 행정은 계층적이고 관료적이고 각자 역할에만 집중하는 경향으로 협력 부족, 정책 통합성의 부족을 야기한다. 이것은 복잡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를 갖는다. 예를 들어, 기후 변화, 공공 건강, 빈곤과 같은 다차원적인 문제는 부처 간 협력이 필수적이지만, 기존 방식으로는 이러한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공공정책의 전문가들은 그간 행정의 본질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를 해왔지만 그것이 쉽지 않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신공공관리(NPM New Public Management)는 행정분야에서 효율성 중심..
2024.10.13 -
보이지 않는 디자인을 보이게 하기: HSLU(루체른 응용과학예술대학) 서비스디자인 석사 과정을 알리는 방법
서비스디자인의 본질적인 특징 중 하나는 결과물이 물리적인 제품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전통적인 디자인 분야에서는 논문을 포함하여 디지털 결과물, 그래픽 디자인, 제품 디자인 등 다양한 형식의 결과물이 함께 나오며 평가와 검증 또한 주로 물리적 결과물에 바탕을 두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서비스디자인은 경험, 과정, 그리고 시스템의 설계를 중심으로 하는 비가시적 작업이 핵심이다. 이러한 이유로, 서비스디자인 학위 과정에서 생성된 비가시적 결과물을 대중에게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는 중요한 도전 과제가 된다.스위스의 HSLU(루체른 응용과학예술대학)는 이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보인다. 이 대학의 서비스디자인 석사 과정학생들은 학습한 내용을 가시화하여 대중과 공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학생..
2024.10.06 -
학생 서비스디자인 챌린지 2025(SSDC2025), 접수가 시작되었다!
학생 서비스디자인 챌린지 2025(SSDC2025)가 시작되었다!학생 서비스디자인 챌린지 2025(SSDC2025)는 차세대 디자이너들을 격려하고 영감을 주는 글로벌 디자인 어워드이다. 현재 대학, 아카데미 또는 컬리지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젊은 디자이너들이 사람 중심, 미래 지향적인 서비스를 설계하도록 지원한다. 이 챌린지는 지속 가능한 개발과 형평성 있는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학생들이 포용적이지 않은 비즈니스 모델과 낡은 디자인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제안하도록 장려한다.학생들은 인간 중심의 연구, 공동 창조, 시스템적 사고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과 도구를 적용해 솔루션을 개발하며, 이를 통해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각 팀은 코칭 및 멘토..
2024.10.05 -
공공서비스디자인하기: 공동디자인 기초 - NYC Opportunity
공공서비스디자인하기: 공동디자인 기초Civic Service Design: Co-Design 101공동디자인(Co-design) 실행과 그 중요성에 대한 간략한 가이드A brief guide to understanding the practice and importance of co-design이 글은 원문 저작처 허락 없이 번역 게재한 글입니다. 문제가 된다면 design@naver.com 으로 알려주세요. 삭제하겠습니다. 원문을 챗GPT로 번역하고 일부 수정하였습니다. 사진은 구글 이미지 번역 기능으로 번역하였습니다. 원본 글 출처 : Civic Service Design: Co-Design 101 Civic Service Design: Co-Design 101A brief guide to unders..
2024.10.01 -
사용자 관점에서 행정 서비스를 지원한다. 일본 디지털청 서비스디자이너의 역할
사용자 관점에서 행정 서비스를 지원한다. 디지털청 서비스디자이너의 역할. 디지털청. 2024.9.4.원문 : https://digital-gov.note.jp/n/n5c37b6c01cf2 최근 일본 디지털청 note에 게재된 서비스디자인 영역의 종사자 인터뷰 기사 전문을 소개합니다. 행정부 내의 서비스디자인 부서가 어떤 일을 하고 있고 공무원 서비스디자이너는 어떤 일을 하는지 잘 이해할 수 있는 글입니다. 원문 저작처인 일본 디지털청 허락 없이 번역 게재한 글입니다. 문제가 된다면 design@naver.com 으로 알려주세요. 삭제하겠습니다. 원문을 챗GPT로 번역하고 일부 수정하였습니다. 사진은 구글 이미지 번역 기능으로 번역하였습니다. 利用者目線で行政サービスを支える。デジタル庁のサービスデザイナーが果..
2024.09.29 -
일본 디지털청의 서비스디자인 활용이 우리나라에 주는 교훈
우리나라 공공부문에 필요한 변화우리나라 공공부문은 오랫동안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 설계로 인해 국민의 실제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정책과 서비스가 정부의 편의에 맞춰져 있다 보니, 국민들이 느끼는 불편함과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또한, 부처 간 협업 부족과 시스템의 비효율성은 공공 서비스의 혁신을 가로막는 주된 요인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 디지털청이 도입한 '서비스디자인' 사례는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원문 : '이용자 중심으로 행정 서비스를 혁신하다: 일본 디지털청의 서비스디자이너 역할', 일본 디지털청 공식블로그, 2024.9.4. 利用者目線で行政サービスを支える。デジタル庁のサービスデザイナーが果たす役割|デジタこの国に暮らす、すべての人がデジタル化の恩恵を享..
2024.09.29 -
디자인이 정부를 바꾸다: DRS 2024에서 본 정책디자인의 미래 - 안나영 한국디자인진흥원
2024년 6월 말, 미국 보스턴에서 열렸던 DRS 2024 컨퍼런스는 디자인과 정부의 만남을 보여주는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디자인계의 거장들과 정책 전문가들이 모여 디자인이 어떻게 정부와 공공 서비스 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안나영 한국디자인진흥원 안전디자인 팀장이 발표자로 참여했던 '정부의 디자인 연구 리더십 Design Research Leadership in Government' 세션은 정부 내에서 디자인 리더십이 어떻게 구현되고, 정책디자인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며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아래 글은 해당 세션에 참여했던 안나영 팀장의 DRS 2024 출장 결과보고서와 부서 동료를 대상으로 했던 행사 참관 공유회의 ..
2024.09.24 -
서비스디자인 팟캐스트
서비스디자인 팟캐스트 https://www.servicedesignpodcast.com/서비스디자인 팟캐스트는 2016년 9월에 시작된 서비스디자인 전문 팟캐스트이다. 전 세계의 다양한 실무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최신 서비스 디자인 동향과 실질적인 사례를 소개한다. UX, 디자인 씽킹, 시스템 디자인 등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며, 서비스 디자이너들에게 유용한 인사이트와 실무 지식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청취자들은 실제 프로젝트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팁과 영감을 얻을 수 있다. 현재 팟캐스트는 Knight Moves Belgium의 서비스디자이너 Laurens Somers와 Jeroen Depuydt가 진행한다. 시작 배경 및 목적서비스디자인 팟캐스트는 서비스 디자인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실무자들..
2024.09.20 -
국민디자인단 관련 논문 모음 (2015~2024)
국민디자인단, 공공서비스디자인 관련 논문 모음 (2015~2024)국민디자인단을 연구 대상으로 다룬 논문을 찾아보았다. 총 30개이다.- 학술지 논문 17- 학위 논문 13 (석사7, 박사 6)논문 내려받기... (29개 파일 - 30개 중 다운 받을 수 없었던 파일 제외, 433MB)No연도구분제목저자학교12024학술지공동생산 방식으로서 공공서비스디자인의 유용성 아동보호서비스를 중심으로김선희 김현준 22024학술지디자인 액티비즘 특성에 준거한 시민 참여형 정책디자인 현황 및 발전 방향 제언 - 국민정책디자인단 사례를 중심으로 고봉신 이병학 32024학술지미래 대응 정책디자인 전략으로서 퓨처스 씽킹(Futures Thinking) 사례 연구윤채영 이명희 42023학술지공공분야 디자인 활용 확대를 위한 정..
2024.09.13 -
서비스디자인어워드 - 서비스디자인네트워크
서비스디자인어워드는 서비스디자인의 뛰어난 성과를 기림으로써 서비스디자인의 가치와 인식을 확산하기 위해 2015년에 처음 제정되었다. 서비스디자인네트워크 비르짓 마거(Birgit Mager) 회장은 1998년에서 2001년까지 스위스 국제디자인어워드에서 서비스디자인 부문 심사를 맡았었지만, 당시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을 설명하고 참여를 독려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년 동안 자동차 공유 서비스, 헬리콥터 구조 서비스 등 혁신적인 프로젝트들이 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충분한 실무 사례가 부족하여 결국 중단되었다. 그로부터 약 15년이 지난 2015년, 서비스디자인네트워크(SDN)는 서비스디자인어워드를 다시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이 상은 서비스디자인이 무엇인지 널리 알리고, 혁신적인 성과를 통해 서..
2024.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