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52)
-
서비스디자인이란? 국내 매체가 말하는 서비스디자인
사용자의 ‘서비스경험’을 디자인하는 활동 및 이를 전문적으로 실행하는 디자인 영역을 의미한다. 이 외에도 서비스디자인은 매우 다양한 개념 정의가 존재한다. 서비스디자인이란... 서비스를 설계하고 전달하는 과정 전반에 사용자 중심의 리서치가 강화된 디자인 방법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키는 분야로서 제조에 서비스를 접목하거나 신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디자인이란 고객이 서비스를 통해 경험하게 되는 모든 유ㆍ무형의 요소(사람, 사물, 행동, 감성, 공간, 커뮤니케이션,도식 등) 및 모든 경로(프로세스, 시스템, 인터랙션, 감성로드맵 등)에 대해 고객 중심의 맥락적인(Contextual) 리서치 방법을 활용하여 이해관계자간에 잠재된 요구를 포착하고 이것..
2019.02.17 -
세계디자인기구(WDO) 이사진 초청 KIDP 국제디자인세미나 개최
세계디자인기구(WDO) 이사진 초청 KIDP 국제디자인세미나 주제 : Design Driven Innovation 일시 : 2019.02.22.(금), 13:30~18:00장소 : 코리아디자인센터 6층 컨벤션홀주관 :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디자인진흥원(KIDP)은 전세계 디자인계를 대변하는 국제 전문단체인 '세계디자인기구(WDO, World Design Organization)' 이사진을 초청하여 '디자인 주도 혁신으로 미래를 준비하라(FUTURE READY: Design-driven Innovation)'을 주제로 아래와 같이 세미나를 개최합니다.삼성전자, 컴팰, 타파웨어 등 글로벌기업의 디자인 수장(Chief Design Officers)이 디자인 주도의 기술 개발과 접목을 통한 미래 비즈니스 준비에 ..
2019.02.15 -
(2019 HCI학술대회) 국가적 디자인산업 육성전략과 디자인을 통한 국가혁신의 추진방향(한국디자인진흥원)
HCI Korea 2019 학술대회에서 한국디자인진흥원은 국가적 디자인산업 육성전략과 디자인을 통한 국가혁신의 추진방향을 간략하게 공유하고(190분), 패널과 참여자가 함께할 수 있는 토의와 질의응답(60분)을 진행합니다. 주제 : (P03) 국가디자인 전략과 산업•사회혁신2월 14일 (목) 13:40~17:00장소 : ICC 제주국제컨벤션센터. 06_ 한라홀A 국가디자인전략 추진배경과 방향 (한국디자인진흥원 윤주현 원장) 산업과 사회가 고도화 될수록 인간을 위한 디자인의 역할과 책임은 더 중요해집니다. 디자인이 가치를 창출하는 지식서비스 수준에 머물게 되면, 산업·사회·공공·환경·인프라 등 국가경영 전반의 경쟁력을 상실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진흥원은 국민 삶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디..
2019.02.14 -
(채용안내) 엔진 Engine - 두바이에서 서비스디자이너를 채용 중입니다.
런던에 본사를 둔 서비스디자인 전문기업 엔진. 두바이에서 서비스디자이너를 채용 중입니다. https://www.enginegroup.co.uk/contact/ Facebook 나가기 이 웹사이트 링크로 이동하려고 했는지 확인해보세요: https://www.enginegroup.co.uk/contact/?fbclid=IwAR1jwGi0OA07An1uwtDOSwtL2rYJIjPURdICFKcPC1Ljnp_kBx6-xIlbWVE www.facebook.com
2019.02.14 -
2019 공공의료서비스디자인 포럼. 2019.2.21.목요일 14:00~17:00. 서울의료원 4층 대강당
2019 공공의료서비스디자인 포럼공공의료 서비스디자인 포럼남북통일을 준비하는 헬스케어 서비스의 경험 디자인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통일디자인랩 Design for Unity에서 재단법인 통일과나눔 및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과 함께 국내 최초로 한반도 평화 통일을 준비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디자인을 논의하는 장을 엽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특히 국내에 거주하는 삼만 여 명이 넘는 탈북민의 보건의료 서비스와 병원 이용의 경험을 집중적으로 조명해 보고자 합니다. 일시: 2019.2.21 14:00 - 17:00장소: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4층 대강당 참관: 무료 (다과와 기념품 제공)주관 :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통일디자인랩 Design for Unity, 재단법인 통일과나눔, 서울특별시 서..
2019.02.13 -
서비스디자인이란? : 개념, 디자인의 역할 확장의 배경과 의미, 국내외 동향, 기관 및 행사 등
* 첨부파일로 확인하세요. 서비스디자인 소개 서비스디자인의 개념 유사 개념간 비교 디자인의 역할 확장의 배경과 의미 국내외 서비스디자인 동향 주목할만한 나라, 기관 등 별첨 2019.2.12. 관련 문의 :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혁신실 윤성원 실장 design@naver.com usable.co.kr 1. 서비스디자인의 개념 사용자의 ‘서비스경험’을 디자인하는 활동 및 이를 전문적으로 실행하는 디자인 영역을 의미한다. 이 외에도 서비스디자인은 매우 다양한 개념 정의가 존재한다. ‘서비스를 설계하고 전달하는 과정 전반에 디자인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생각과 행동을 변화시키고 경험을 향상시키는 분야로서 사용자 중심의 리서치가 강화된 새로운 디자인 방법으로 제조에 서비스를 접목하거나 신 서비스 모델을 개..
2019.02.12 -
소셜벤처기업에서 일하고 싶으신 분이라면 - 임팩트 커리어
https://facebook.com/impactcareerRI/posts/2166601893592087 . 임팩트커리어. 사회혁신 분야에서 커리어를 시작하고 싶은 분이라면 지원해보시기 바랍니다. 다양한 소셜벤처기업의 일자리를 연결해 준다고 합니다.
2019.01.21 -
[미래 디자인 트랜드] 스마트 홈 산업 환경 및 관련 기술동향 (종합 보고서) - 한국디자인진흥원
[미래 디자인 트랜드] 스마트 홈 산업 환경 및 관련 기술동향 (종합 보고서) Step 01미래 가구 유형 연구❶ 가구 유형에 대한 연구❷ 1인 가구의 연구❸ 미래 가구 유형 도출 Step 02유망 기술 도출❶ 유망 기술 도출 방법❷ 유망 기술 조사❸ 중소기업 신제품 기획을 위한 유망 기술 도출 Step 03중소기업 활용 방안❶ 중소기업 활용방안을 위한 프레임 개발 Step 04킬러 제품 도출❶ 킬러 제품 도출을 위한 P.T.D.K 프레임 활용❷ 퍼소나 기법을 활용한 소비자 Needs 파악❸ 퍼소나 기법을 활용한 제품/서비스 도출❹ 퍼소나를 통한 킬러제품 도출❺ 퍼소나를 통한 기술 요소 도출과 킬러 제품 예측❻ 킬러 제품 제안 * 문의 한국디자인진흥원 역량강화본부 선행연구실 김영훈 주임연구원 031-78..
2018.12.18 -
[미래 디자인 트렌드 보고서] 2030 FUTURE VISION CODE 4.0 종합보고서 - 한국디자인진흥원
[미래 디자인 트렌드]2030 FUTURE VISION CODE 4.0 종합보고서 - MEGA CODE : 미래 스마트홈 비전 코드 시작하기- HUMAN CODE : 인간 가치 읽기- DESIGN CODE :디자인 개발 방향 제시하기 * 문의 한국디자인진흥원 역량강화본부 선행연구실 김영훈 주임연구원 031-780-2275 #스마트홈 #미래트렌드 #미래시나리오 #designtrend#SmartHome 출처 : http://www.designdb.com/?menuno=785&bbsno=30010&siteno=15&act=view&ztag=rO0ABXQANDxjYWxsIHR5cGU9ImJvYXJkIiBubz0iNTg3IiBza2luPSJwaG90b19iYnMiPjwvY2FsbD4%3D&fbclid=IwAR3q..
2018.12.18 -
(디자인 이슈 리포트) 포용 디자인으로 만드는 포용 국가 - 최수신 美 The Modus Design 대표
디자인 이슈 리포트Vol.28designdb.com최수신美 The Modus Design 대표 포용 디자인으로 만드는 포용 국가* 출처 : 디자인DB > 디자인이슈리포트 http://www.designdb.com/?menuno=695&cates=687### 정부는 '혁신적 포용국가'를 사회정책 분야 비전으로 제시한 바 있습니다. 이른바 'Inclusive Country'를 만들겠다는 것입니다. 포용국가 실현을 위해 각 분야에서는 어떤 구체적인 방안을 준비하고 있을까요? 디자인은 본래 모두의, 보편적인 사용자를 고려한 포용디자인(Inclusive Design)을 추구해왔다는 점에서, 포용국가 실현에 디자인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포용디자인을 통한 포용국가를 실현하기 ..
2018.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