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디자인(37)
-
정부를 위한 디자인, 정의 및 사례, 동향 - 윤성원
윤성원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디자인실장2024.1.31. 20:00~20:40 . 공공기관공공디자인협의회 정책디자인분과 회의발표자료 [ PDF 다운로드 ]제가 이 주제를 발표하겠다고 요청드렸던 이유는 우리 정책디자인 분과에서 정책디자인의 개념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어서입니다. 전에 이승호 교수(UNIST)님이 발제를 해주신 것이 저는 매우 적절했다고 생각하고 각자 돌아가면서 이 주제에 대해 의견을 말해보는 게 어떤가 하는 생각을 했기에 제가 다음으로 내용을 정리해 봤습니다. 거기 추가해서 작년에 제가 조사했던 서비스디자인에 관련된 국내외 동향을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 1부, 2부로 나눠서 1부는 정책디자인의 개념에 관한 이야기고 2부는 서비스디자인 동향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1부 -정책..
2024.02.02 -
공공서비스의 기본값을 다시 디자인하자
영문을 알 수 없는 청구서를 보고 놀랐던 기억이 있지 않나? 알고 보니 언제인가 신청했던 무료 서비스가 유료로 전환된 것임을 깨달았던 적이 있다면, 당신은 '암묵적 동의'라는 악의적 선택 설계(다크 넛지 Dark Nudge)의 쓴맛을 경험한 것이다.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 선택 설계는 사람들의 의식과 행동을 조정하고 세상을 움직이고 있다. 선택 설계의 힘은 국민의 의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이 그래프*는 국민들한테 장기 기증 의사를 물어본 결과다. 덴마크는 4%, 영국은 17%로 아주 낮은 반면 오스트리아, 프랑스 같은 나라들은 100%다. 장기기증 의사를 표명하는 시점은 면허시험을 볼 때다. 작성 서식에 장기기증 희망 여부를 묻는 항목이 있다. 'Opt-In' 방식(참여하려면 체크해야 하는 방식) '..
2023.11.01 -
정책을 디자인하는 공공서비스디자인 운영 모델, 국민디자인단을 소개합니다.
'영국 GDP 중 공공서비스에 관한 지출은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정부 예산의 약 80퍼센트를 공공서비스에 지출한다.' '더 놀라운 사실은 그 비용 중 최대 60퍼센트가 실패한 서비스에 사용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정부의 민원 상담 전화라든지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은 사회 복지 사업 등이 포함되어 있다.' '좋은 서비스디자인'(루다운, 2021) 중 발췌 정책을 디자인한다고? 공공정책은 수요자의 요구를 바탕으로 기획되거나 세심한 배려로 설계되지 않고 있다. 그 결과 국민들은 낮은 편의성과 만족스럽지 못한 환경에 처해 있다. 구청, 우체국, 보건소 할 것 없이 서비스가 제공되는 관공서나 공기관을 중심으로 공공의 영역 전반에서 겪게 되는 불편함과 위화감은 효율을 떨어뜨리고 삶의 피로도..
2023.09.25 -
행정 현장을 지원하는 '디자인'에 대한 생각 - 일본 디지털청 디자이너의 활약상
일본의 디지털청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 과정에서 '서비스디자인'이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서비스디자인은 사용자 중심의 접근 방식을 통해 효율적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청 내에서는 이를 위해 다양한 전문가들이 모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그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데 특히, 디자이너와 행정관이 협력하여 서비스디자인의 원칙을 행정 서비스에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디지털청만의 독특한 장점이며, 행정 서비스의 효율성과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최근 일본 디지털청 note에 게재된 서비스디자인 영역의 업무에 종사하는 행정관과 디자이너 인터뷰 기사 전문을 번역해 소개한다.* 일본 디지털청(Digital Agency) : 일본 정부의 행정 기관이다..
2023.09.21 -
일본의 젊은 공무원들이 서비스디자인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2023년 8월 18일 저녁 강남, '일본 IT기업에서 서비스디자이너로 일하기 - 서비스디자인 전문가 간담회'가 있었습니다.* 모임 안내 : https://designq.kidp.or.kr/news/view/3 17명의 서비스디자이너가 모였습니다. 서비스디자이너는 중재자와 촉진자로 다양한 분야의 참가자들과 함께 일하기 때문에 서비스디자이너들만 모이게 되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앞으로도 종종 이런 모임으로 업계 정보가 공유되었으면 합니다. 마침 서비스디자인드링크 서울 운영자 손민정 님이 9월에 예정된 행사 소식을 공유해 주셨습니다.2023 서비스디자인드링크 서울🇰🇷 (Service design drinks Seoul)주제 : AI와 서비스디자인챗GPT를 대표해 생성형 AI가 일반 대중에게 일상적으로..
2023.08.20 -
(USABLE, 운영자 소개) 서비스디자이너 아닌 서비스디자인전문가
이곳은 쓸만한 블로그입니다.쓸만한 블로그(라기보다는 이름이 그렇습니다. usable.co.kr )에서는 서비스디자인 개념, 국내외 사례, 방법론 등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정보와 쉽고 재미있는 디자인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공공서비스혁신, AI와 챗GPT 활용에 관한 생각을 나눕니다.2004년부터 네이버 카페 '쓸만한웹' https://cafe.naver.com/usable 을 운영하다가 2017년 티스토리로 옮겨왔습니다.Kr) www.usable.co.krEn) medium.com/@usableJp) note.com/usable서비스디자이너 아닌 서비스디자인 전문가 서비스디자인의 가능성에 대해 과도한 관심과 확신을 가진 서비스디자인 전문가입니다. 제 입으로 전문가라고 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지만 1만 시간이..
2021.04.03 -
공공서비스디자인 개론서.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 (2017)
공공서비스디자인 개론서, ‘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2017년 개정판)* 첨부된 PDF 파일로 확인해주세요.아래는 구글에서 검색되도록 하기 위해 본문을 복사해 둔 것입니다.------------------------------------------------------------------공공정책, 책상에서 현장으로국민 중심 정부 실현을 위한 공공서비스디자인한국디자인진흥원윤성원 김정원 안나영로보앤컴퍼니정인애 대표 박 찬 기은경 이주성이 책은 산업통상자원부 R&D 2012 디자인전문기술개발사업 중 ‘공공서비스 수요자중심 혁신과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서비스디자인기술개발’ 의 연구 내용을 토대로 개발된 것입니다.현장에 답이 있다수요자 중심의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서 정책은 이제 현장으로 가야 합니다. 정부..
2016.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