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2. 8. 17:18ㆍAI
정부를 위한 디자인
이 과정은 학생들이 서비스디자인의 기본 개념부터 시작하여, 공공정책의 이해, 공공서비스디자인의 기획과 적용, 그리고 실제 프로젝트의 개발과 평가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배우고 경험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학기별로 서비스디자인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하며, 특히 지역 공공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실제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합니다. 과정 중 참가자들은 전문 분야 멘토, 관련 과제의 정책 담당자, 수요자와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서비스디자인의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 대상
ㅇ 대학 서비스디자인 전공생 및 관련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합니다.
□ 핵심 목표
ㅇ 수요자 중심의 공공정책, 공공서비스를 기획, 개발, 적용, 평가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 실행 역량 향상
- 서비스디자인 방법론과 이를 통해 공공서비스를 개발하는 방안에 대한 이해
- 수요자의 욕구를 발견하고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창출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
- 사회 문화적 맥락을 고려해 미래를 구상하고 기획하는 스토리텔링 능력 배양
- 새로운 서비스 개념을 프로토타입화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기능
- 공공서비스디자인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기술 향상
□ 과정의 특징
ㅇ AI와 서비스디자인의 융합
- AI기술의 기본 이해부터, 서비스디자인에 AI를 통합한 심화 학습과 실습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이는 학생들이 AI 기술을 활용하여 혁신적인 서비스디자인을 개발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합니다.
ㅇ 공공서비스디자인의 실제 적용
- 교육 과정은 공공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실제 사회문제 해결 프로젝트 수행을 강조합니다.
- 이러한 실무 중심의 접근은 공공서비스디자인의 품질 향상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실질적인 경험을 제공합니다.
* 공공서비스디자인 기법으로 정책을 기획하는 국민디자인단 프로그램 운영 방식 및 방법론, 툴킷 등 활용
ㅇ 사회적 가치 창출
- 교육 과정은 서비스디자인의 사회적, 윤리적 측면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고 있어, 학생들이 디자인 기술을 넘어서
사회적 책임과 가치 창출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합니다.
□ 주의사항
ㅇ 이 커리큘럼은 다음 사항들을 유념하여 관리해야 합니다.
1. AI 기술의 지속적 업데이트 : AI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교육 과정은 최신 AI 기술 동향을 반영해 지속해서 개선, 수정되어야 하며 AI의 활용 범위와 수준도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실무 연계 강화 및 최신성 유지 : 학생들이 최신 이슈가 반영된 공공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에 많이 참여하고, 이를 통해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협력 기관을 확대하고 과제의 주제 최신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평가 및 피드백 메커니즘 지속 개선 : 정부 정책 및 사회 문화적 환경변화를 감안하여 학생들의 프로젝트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메커니즘을 업데이트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4. 국제적 관점 통합 : 글로벌 네트워크와 국제적 사례의 최신성을 유지하여 학생들이 국제 서비스디자인 트렌드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서비스디자인 전공 수업 요약
구분 | 주제 | 교육목표 | 교육내용 | 주요 활동 내용 예시 | |
1학년 | 1 | 서비스디자인 + AI기술 기초와 수요자 중심의 태도 형성 | 서비스디자인 및 AI 기본 개념 이해 | 서비스디자인의 가치와 중요성 인식, AI 기술의 기본 이해 | - 지역사회 데이터 분석 - 서비스디자인 사례 연구 - AI와 디자인 융합 사례 발표 서비스디자인과 미래 예측 |
2 | 서비스디자인 + AI기술 심화와 수요자 중심 디자인의 적용 | 수요자 중심의 디자인 적용 능력 강화 | 심화된 서비스디자인 적용 능력, 사용자 조사 및 분석 기법 습득 | - 공공데이터 활용 서비스디자인 - 지역사회 문제 해결 프로젝트 - AI 윤리적 문제 사례 분석 |
|
2학년 | 1 | 공공정책과 서비스디자인의 이해 및 적용 | 공공정책 및 이해관계자 분석 능력 배양 | 공공서비스디자인의 중요성 이해, 정책 형성 과정에서의 서비스디자인 적용 | - 지역사회 이해관계자 분석 - 공공서비스디자인 사례 연구 - 공공정책 평가 방안 제안 |
2 | 공공서비스디자인의 실제 적용 및 사례 심화 | 공공서비스디자인의 실제 적용 능력 강화 | 실제 공공서비스디자인 적용 사례 학습, 실무적 적용 능력 습득 | - 지역사회 협력 프로젝트 - 서비스디자인의 도전과 기회 분석 - 지속가능한 서비스디자인 연구 |
|
3학년 | 1 | 공공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의 실현 및 평가 | 공공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 기획 및 실행 능력 개발 |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 기획 및 실행 능력, 사용자 및 사회적 요구 이해 | - 공공서비스디자인 프로토타이핑 - 사용자 중심 서비스디자인 제안 - 공공서비스디자인 전략 수립 |
2 | 공공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의 실현 및 평가 |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환류 및 평가 능력 강화 | 프로젝트의 사회적 영향 평가 및 개선 방안 개발 | - 프로젝트 데이터 분석 - 사회적 영향 평가 보고서 - 최종 성과 발표회 준비 |
|
4학년 | 1 |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의 개발과 실제 적용 |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개발 및 실제 적용 능력 강화 |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의 실제 개발 및 실행 경험 | - 공공서비스 현장 방문 - 사용자 중심 서비스디자인 제안 - 수요자 간담회 |
2 |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의 환류, 평가, 및 마무리 |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최종 평가 및 마무리 능력 강화 | 프로젝트의 완성도 및 사회적 영향력 평가 | - 최종 프로젝트 평가 준비 - 프로젝트 발표 연습 - 최종성과발표회, 전시, 시상식 |
과정에서 다루게 될 가상 프로젝트 주제(예시)
구분 | 현재과제 | 설명 | 미래과제 | 설명 |
안전/안심 | 작업장 안전 최적화 | 작업장에서의 안전 개선을 위한 디자인 프로젝트 | 미래의 작업장 안전 시스템 | 2040년 AI기술을 활용한 작업장 안전 개선 시스템 |
교육 | 디지털 학습 활성화 |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통한 교육 접근성과 효율성 개선 | 미래 교육의 새로운 모델 | 2040년 디지털 기술과 AI를 통합한 혁신적 교육 시스템 구축 |
지역경제 | 전통시장의 현대화 및 지속 가능성 | 전통시장의 재탄생을 위한 지속 가능한 커뮤니티 디자인 | 미래의 전통시장 모델 | 2040년 지속 가능하고 혁신적인 전통시장 개발 |
공유 경제 시스템 혁신 |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지속 가능성을 위한 공유 경제 모델 설계 | 차세대 공유 경제 모델 | 20년 내에 실현될 수 있는 고도화된 공유 경제 시스템 개발 | |
건강/웰빙 | 지역사회 기반 건강 관리 | 접근성 높은 건강 관리와 예방 서비스를 지역사회에 제공 | 미래의 건강 관리 시스템 | 첨단 기술과 혁신적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미래 건강 관리 서비스 개발 |
사회복지 | 노령자 복지 서비스 혁신 | 노령자를 위한 향상된 복지 서비스 개발 | 미래 지역사회 복지 |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노령자 복지 서비스의 미래 모델 |
문화관광 | 지속 가능한 관광 전략 | 환경적, 사회적 영향을 최소화하며 지역 경제를 촉진하는 관광 전략 | 미래 지속 가능한 관광 모델 | 지역 특성에 맞는 지속 가능한 관광 모델 개발 |
교통/운송/이동 | 안전한 학교 가는 길 | 학교 주변의 안전한 도시계획 | 미래 도시의 안전 계획 | 혁신적인 도시 계획을 통해 학교 주변의 안전을 강화 |
주거/생활환경 | 포용적 놀이터 디자인 | 모두가 즐길 수 있는 포용적 공간 디자인 | 미래의 포용적 놀이터 | 미래 지향적이고 혁신적인 놀이터 디자인 개발 |
기후변화/에너지 |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 재생 가능 에너지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사용을 촉진하는 전략 | 미래의 에너지 시스템 | 20년 후의 첨단 기술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개발 |
재난예방/대응 | 효과적 재난 대응 시스템 | 자연재해 및 사회적 재난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및 관리 전략 | 재난 대응의 미래 | 20년 후의 첨단 기술을 활용한 재난 대응 및 관리 시스템 |
공공서비스 | 효율적인 공공서비스 제공 방안 | 공공부문의 서비스 효율성과 효과성 개선을 위한 전략 | 미래 지향적 공공서비스 모델 | 첨단 기술과 혁신적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공공서비스 모델 개발 |
대학교 | 협업과 창의성을 위한 공간 혁신 | 대학 도서관 및 협업공간의 창의적 활동 촉진을 위한 공간 디자인 | 미래의 교육 및 협업 공간 | 혁신적인 교육 및 협업 공간 디자인 |
-------------------
목차
정부를 위한 디자인 커리큘럼(안) ( + PDF)
0. 수업 개요
1. 1학년 1학기 서비스디자인 + AI기술 기초와 수요자 중심의 태도 형성
2. 1학년 2학기 서비스디자인 + AI기술 심화와 수요자 중심 디자인의 적용
3. 2학년 1학기 공공정책과 서비스디자인의 이해 및 적용
4. 2학년 2학기 공공서비스디자인의 실제 적용 및 사례 심화
5. 3학년 1학기 공공서비스디자인의 기획과 실제 적용
6. 3학년 2학기 공공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의 실현 및 평가
7. 4학년 1학기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의 개발과 실제 적용
8. 4학년 2학기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의 환류, 평가, 및 마무리
국내외 협력기관
별첨. 미래시나리오 프레임워크 및 작성 예시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2학년 1학기 공공정책과 서비스디자인의 이해 및 적용 (0) | 2024.02.08 |
---|---|
2. 1학년 2학기 서비스디자인 + AI기술 심화와 수요자 중심 디자인의 적용 (0) | 2024.02.08 |
1. 1학년 1학기 서비스디자인 + AI기술 기초와 수요자 중심의 태도 형성 (0) | 2024.02.08 |
정부를 위한 디자인 (공공서비스디자인X생성형AI) 커리큘럼(안) - 윤성원 (1) | 2024.02.08 |
생성 AI의 시각적 표절 문제 : 미드저니와 달리3 실험으로 드러난 저작권의 지뢰밭 - 개리 마커스, 리드 사우센. 2024.1.6. (1) | 2024.01.08 |
챗GPT로 연출하기 (1) | 2024.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