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52)
-
장애인을 위한 재난안전 가이드 (5종) - 한국장애인개발원 (2022년 11월 개정판)
스스로 이동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이 재난 상황을 미리 대비하고,재난 상황에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입니다. 1. 이동이 어려운 장애인을 위한 재난안전 가이드 2. 계단이동이 어려운 장애인을 위한 재난안전 가이드 3. 시각정보 습득이 어려운 장애인을 위한 재난안전 가이드 4. 의미이해가 어려운 장애인을 위한 재난안전 가이드 5. 음성 의사소통이 어려운 장애인을 위한 재난안전 가이드 * 2022년 주요 개정사항 소화기 사용법, 재난 추가(감염병, 낙상, 교통사고,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 사고) 등 #안전디자인 재난 안전 가이드 동영상 버전 https://www.youtube.com/watch?v=jJut1K_7kIc 출처 및 내려받기 : 한국장애인개발원 https://www.koddi.or..
2023.08.10 -
서비스디자인 분야 국제디자인공모전
2023.8.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디자인실 안전디자인팀에서 조사한 내용입니다. 실제 내용은 링크를 통해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제목 설명 접수기간 URL iF(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 국제디자인공모전 중 가장 오래된 공모전 디자인계의 오스카라고도 불리는 역사와 전통이 있는 국제 디자인 공모전. 2016년부터 서비스디자인부문 운영 2023.06.30까지 (독일시간 자정 마감) https://ifdesign.com/en/ RED DOT AWARD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디자인 공모전의 하나. 출품작 가장 많음.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는 크게 제품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컨셉 디자인 세 분야로 나뉨 2022.12.1~2023.01.18 Early 2023.01.1..
2023.08.09 -
일본IT기업에서 서비스디자이너로 일하기 - 세미나 참가 안내. 8.18.
일본IT기업에서 서비스디자이너로 일하기 NTTDATA의 글로벌 서비스디자인 집단 Tangity https://tangity.design" 서비스디자이너 이원교와 함께 하는 소통의 시간 이원교님은 현재 일본 주식회사 NTTDATA의 법인컨설팅&마케팅사업부에서 서비스디자이너로 활동하며, 스마트시티 지원, 기업 CX디자인 컨설팅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모임은 이원교님의 경험 공유와 함께 참석자들도 서로의 업무나 관심사를 소개하고 교류하는 자리로 마련하려고 합니다. 일시 : 8.18.(금), 19:30부터 장소 : 철부지모임공간 강남2호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1길 28-9 6층 (지하철 2호선 강남역 11번 출구에서 약 300m). 주차불가 * 네이버지도 : https://naver..
2023.08.08 -
작지만 지속가능한, 젊은이를 위한 마을 '코펜하겐 빌리지'
'CPH Village'는 2015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시작된, 학생 주거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한 프로젝트다. 두 명의 젊은 창업가는 사용되지 않는 컨테이너를 쌓아 250명을 수용할 복합 단지를 구상했다. 환경오염과 건설비를 줄이는 명백한 이점에도 코펜하겐 시는 이 계획에 동의하지 않았다. CPH Village 팀은 시를 설득하기 위해 2종의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나서 공무원들을 초대했다. 컨테이너 주거 공간 프로토타입을 실제로 본 공무원들은 감명을 받고 계획을 승인하는 것을 넘어 학생용 임시 주거 시설 사용 기간을 3년에서 10년으로 변경한다.그 결과로 첫 번째 CPH Village가 설치될 수 있었다. 그곳은 덴마크 왕립 예술 학교, 덴마크 영화 학교, 그리고 덴마크 국립 연극 학교에서 자전거로 3..
2023.07.26 -
(의료) 국민을 더 건강하게 만드는 디자인 - 디자인세균퇴치
디자인은 국민을 더 건강하게 만든다. 디자인세균퇴치 챌린지 Design Bugs Out Challenge 영국에서는 매년 5천여 명이 의료 감염으로 사망하고 있다. 멀쩡한 상태로 병원에 왔다가 오히려 감염을 통해 죽음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무료 공공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국에서는 의료 감염을 치료하는 데 연간 10억 파운드(1.8조 원)의 예산을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지난 10년간 2차 감염으로 인한 추가적인 의료 비용을 줄이는 것은 영국 정부가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 중 하나였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국 보건국과 영국 디자인 카운슬(Design Council)이 모였다. 병원에서 2차 감염을 일으키는 원인을 파악해 보니 청소하기 힘든 후미진 부분이나 틈새에서 발생한 세균 때문이라는..
2023.07.22 -
디자인이 궁금해 - 윤성원 등.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이 궁금해 디자인산업과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 한국디자인진흥원 신입직원 교육용 교재 들어가는 글 디자인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조망합니다. 디자인산업의 특징, 디자인 수요시장과 디자인서비스 공급자의 사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한국디자인진흥원에 주어진 과제, 디자인산업이 해결해가야 할 과제는 무엇이고, 코로나19 이후 디자인산업 육성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지 생각해봅니다. 우리나라 디자인산업 육성 정책을 담당하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역할과 사업을 중심으로 디자인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전망하는 데 도움이 될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2022. 9. 한국디자인진흥원 --- 목차 01_디자인은 무엇인가 01. 디자인은 무엇인가? 02. 디자인은 어떻게 분류되나? 03. 디자인 사다리, 각국의 ..
2023.07.13 -
01. 디자인은 무엇인가?
디자인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구체화시켜 제품, 서비스, 프로세스 등을 매력적으로 만들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분야로, 산업디자인진흥법 등의 법률에서는 제품, 포장, 환경,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며, 계속해서 정의와 분류가 변화하고 있으나 한계점도 존재한다. --- ‘디자인은 공기이다’라는 식의 철학적 정의로부터 지극히 실용적 개념까지, 대량생산을 통해 산업화에 기여하는 공예로서 산업디자인의 개념이 성립된 이래 디자인은 매우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디자인은 ‘창의성과 혁신을 연결하는 것’ (Sir George Cox, 2005, Cox Review of Creativity in Business, Design Council 콕스리뷰 번역본)이라는 관점으로 볼 때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고..
2023.07.13 -
02. 디자인은 어떻게 분류되나?
디자인은 최종 결과물의 유형에 따라 제품디자인, 운송기기디자인, 그래픽디자인, 환경디자인, 인테리어디자인, 디스플레이디자인, 포장디자인, 편집디자인, 애니메이션, 일러스트레이션, 컴퓨터그래픽, 웹디자인, 게임디자인, 영상디자인, 광고디자인, 패션디자인, 도시디자인, 브랜드, 사용자경험, 서비스비즈니스모델 등으로 분류되는데, 규정하기 어렵고 서로 이질성이 커서 동일한 속성을 가진 산업으로 규정하기 어렵다. --- 일반적으로 디자인은 최종 결과물의 유형에 따라 분류되는데 제품디자인, 운송기기디자인, 그래픽디자인, 환경디자인, 인테리어디자인, 디스플레이디자인, 포장디자인, 편집디자인, 애니메이션, 일러스트레이션, 컴퓨터그래픽, 웹디자인, 게임디자인, 영상디자인, 광고디자인, 패션디자인, 도시디자인, 브랜드, ..
2023.07.13 -
03. 디자인 사다리, 각국의 동향
디자인 활용은 단계적 고도화의 과정을 거치며 발전되고 있는데, 가치생산 과정에서 디자인의 역할보다 조직과 문화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역할이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는 이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 덴마크디자인센터는 디자인의 활용단계를 4단계로 구분해 이를 '디자인 사다리'(Design Ladder)라고 이름 짓고 자국 산업의 디자인 활용 수준이 얼마나 발전했는가를 측정하는 모델로 사용한다. 1단계. 디자인 미활용 단계 2단계. 디자인을 스타일링으로 활용하는 단계 3단계. 디자인을 프로세스로서 활용하는 단계 4단계. 디자인을 혁신도구로서 활용하는 단계 4번째 단계는 디자인을 기업의 최고 혁신 전략으로 활용하는 애플과 같은 기업의 경우를 말한다. 디자인 성숙도를 ‘사다리’로 비유하고 있는 이유..
2023.07.13 -
04. 소유에서 경험으로
경험 중심의 서비스산업으로 산업이 변화하고 있다. 사용자의 경험 가치를 최적화하는 능력이 미래의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디자인이 중요시되며, 기업들도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디자인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사용자가 원하는 것은 제품이 아니라 경험 MP3플레이어는 음악을 듣는 휴대기기로 한때 시장을 지배했지만 지금은 볼 수 없다. 더 새로운 디자인과 좋은 기능의 제품이 계속 출시되었다면 지금까지 MP3플레이어는 남아 있을 수 있었을까? * 사진 출처 : http://www.philips.co.kr/c-p/SA1MXX04K_97/gogear-mix-4gb 제품성능, 가격, 기능, 외관 디자인과 같은 ‘제품성’은 제품이 판매되게 하는 본질적 요소가 아니다. 더 본질적인 요소는 언제나 음..
2023.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