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디자인/서비스디자인 방법론(41)
-
서비스디자인 특징 1 - 사람들을 잘 관찰한다.
서비스디자인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겠다. 다양하게 설명할 수 있겠지만, 여기서는 1) 사람들을 잘 관찰한다.2) 통합적 관점으로 접근한다.3) 빠르게, 실행하면서 개선한다.4) 다양한 가시화 방법을 사용한다.이 네 가지로 설명하고자 한다.1) 사람들을 잘 관찰한다.'공급자와 수요자는 너무나 다른 입장에 처해 있기에 공급자가 수요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른 문화권의 인류를 연구하는 학문의 연구방법과 태도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서비스디자이너는 민속지학적 관찰조사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 경험상의 문제를 발견하고 좋은 경험을 디자인할 수 있다. 디자이너는 사회문제를 감지하는 레이더의 역할을 해야하며, 구체적 해결책을 제안하고 구현해야 한다.'-----먼저 사람들을 잘 관찰한다는 점이다. 서비스디자인은 고객의 잠재..
2023.04.05 -
서비스·경험디자인 이론서 -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경험디자인 이론서 - 한국디자인진흥원 국가기술자격증 대비용 참고자료입니다. 파일 받기... https://www.designdb.com/?menuno=790&bbsno=30715&siteno=15&act=view&ztag=rO0ABXQAOTxjYWxsIHR5cGU9ImJvYXJkIiBubz0iNTkxIiBza2luPSJwaG90b19iYnNfMjAxOSI%2BPC9jYWxsPg%3D%3D#gsc.tab=0 서비스·경험디자인 이론서 -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경험디자인 이론서 발간사 생산 비용 절감이 중요했던 과거와 달리 고객만족과 고객가치가 기업의 생존을 결정짓는 핵심 경영 요소가 된 시대입니다. 소비자의 입장을 헤아리고 고 www.designdb.com 발간사 생산 비용 절감이 중요했던 과거와 ..
2022.03.05 -
2018 수유시장 디자인연구회 운영 결과보고서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한국디자인진흥원
* 위에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세요. 아래는 검색엔진을 위해 내용을 복사해둔 것입니다. * 출처 : 한국디자인진흥원 designdb.com 서비스디자인 기반 전통시장 활성화 추진사업 수유마을시장(지역선도시장육성사업) 디자인연구회 운영 결과보고서 (사)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최종보고 2018.09.30] 서비스디자인 기반 전통시장 활성화 추진사업 수유마을시장(지역선도시장육성사업) 디자인연구회 운영 결과보고서 (사)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 서비스디자인기반전통시장활성화추진사업 수유마을시장(지역선도시장육성사업) 디자인연구회운영결과보고 운영개요 펾묺 믾맒 펾묺뺂푷 풢 펾묺풞졶힟짝읺컪? 풢 싢핞핆맪짪 풢 풢 뼒 풢 핊_ 뼒 풢 핊밚힎 맪풢 핊 펾묺졷헏 컪찒큲싢핞핆믾짦킮칺펓팒핂?짪뭂짝#. 헪팖 쿦퓮킪핳뺂컪찒큲싢핞핆많핂슪않..
2021.04.13 -
'시민 서비스디자인 도구 + 전술' - 뉴욕시 서비스디자인 스튜디오
시민 서비스디자인 도구 + 전술시민 서비스디자인 도구 + 전술 Civic Service Design Tools + Tactics는 뉴욕시 경제 기회 시장실(Service Design Studio at the NYC Mayor’s Office for Economic Opportunity)에서 개발된 서비스디자인 도구와 전술을 제공하는 자료이다. 뉴욕시는 공공 서비스의 혁신을 위해 서비스디자인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뉴욕 시민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뉴욕시 서비스디자인 스튜디오의 배경뉴욕시는 2014년부터 공공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처음으로 디자이너를 고용했고,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디자인을 도입하여 공공서비스 개선에 기여해왔다. 이를 통해 뉴욕 ..
2020.10.13 -
2019 국민디자인단 매뉴얼 및 워크시트
국민디자인단 매뉴얼이 2019년 새롭게 보완 되었습니다.국민디자인단 운영 및 공공서비스디자인 워킹그룹 운영시에 사용할 수 있는 참고서입니다.매뉴얼은 ‘이해하기 → 발견하기 → 정의하기 → 발전하기 → 전달하기’ 라는 국민디자인단의 운영 단계별로 목표, 주요 활동, 구성원별 역할 및 주의사항 등을 직관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산업지원․사회복지․문화관광 등 7대 분야에서 국민디자인과제 대표사례를 선정하여 실제 운영일정, 단계별 추진사항 및 디자인단 구성현황 등을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세부 단계별로 이해를 돕기 위해 실제 추진된 다양한 과제를 예시로 제시하여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내려받기... : https://cafe.naver.com/govservicedesign/706
2019.03.11 -
‘도서관을 위한 디자인 씽킹’ 툴킷 번역본
'도서관을 위한 디자인 씽킹' 툴킷 번역본‘도서관을 위한 디자인 씽킹’ 툴킷은...2013년~2014년에 미국 시카고 공공도서관과 덴마크 오르후스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10개국 40여명의 사서들에게 도움을 받아 미국의 디자인 컨설팅회사인 IDEO가 개발하였습니다.전 세계의 많은 사회에서 도서관은, 교육이나 기술 수준에 관계없이 누구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입니다. 도서관은, 많이 이용되지 못한다하더라도 부족한 예산과 자원에서도 유지될 정도로 생명력이 강합니다. 그리고 사서가 직면하는 도전과제는 현실적이고 복잡하며 다양합니다. 급속도로 진화하는 정보 환경 속에서, 사서는 새로운 관점과 도구 및 접근법을 필요로 하는 새로운 솔루션이 필요합니다.이 디자인 씽킹은 명확하게 사서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
2019.03.11 -
성남시의료원 서비스디자인 리서치 결과보고서, 발표자료
성남시의료원 서비스디자인 리서치 결과보고서 및 발표자료주관 : 한국디자인진흥원연구개발 : PXD최종보고회 발표자료 : https://goo.gl/LktPsH 성남시의료원이 환자 중심의 공공의료 서비스를 실현하고자 개발한 서비스디자인 관련 연구 결과 보고서입니다. 의료원은 지역 주민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의료 서비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지난 2016년부터 한국디자인진흥원과 협력, 다양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연구해왔습니다. 환자, 보호자, 간병인, 의료진 등 다양한 대상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병원 이용 시 불편 요소를 찾고 혁신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 본 보고서는 향후 5년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10대 핵심 과제와 46개의 세부 혁신 과제를 수립하였으며, 성남시의료원은..
2018.04.11 -
서비스디자인의 구성
버깃 마거 퀠른국제디자인대학 교수, 서비스디자인네트워크 대표가 말하는 서비스디자인의 레벨 (2014) 현재 3가지 레벨에서 서비스디자인이 이루어지고 있음.1. 전략적 레벨 : 현재 서비스디자인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단계.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 것. 2. 시스템 레벨 : 회사 내 조직 개편이 이루어지는 단계 3. 인터페이스 레벨 : 사용자의 고객여정에 따라 고객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비스디자인” * 2014.2. 버깃 마거 서비스디자인네트워크(SDN) 대표 발표자료 중 엔진의 서비스디자인의 구성요소 (2011) Service organization – the service itself needs to be delivered Service vision Service strategy Service..
2016.12.19 -
서비스 디자인의 가치 측정 - DM Review(2008)
서비스디자인의 가치 측정 'Bottom-line Experiences: Measuring the Value of Design in Service' 저자 Lavrans Løvlie, Founding Partner, live|work Chris Downs, Managing Partner, live|work Ben Reason, Founding Partner, live|work 구체적인 품질 수치와 투자수익률(ROI)은 전략적 결정을 내리고 자원을 분배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정보이다. Lavrans Løvlie, Chris Downs, Ben Reason은 서비스 디자인의 영역에서 자신들이 한 작업의 영향력과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총부가가치(gross value added)"와 "지속가능경영의 3대 축(tri..
2010.08.05 -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이루는 요소, 관련 용어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구성 요소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요소들은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여정(journeys), 채널(channels), 세그먼트(segmentation), 제안(proposition), 접촉( touchpoints), 설계(architectures), 서비스환경(service environments), 사람( personas) 등이 있다. 현재까지 정형화된 것이 없으며, 광범위한 서비스산업의 숫자만큼이나 각기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디자인에서의 용어와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용어를 비교해보면 내용적인 면에서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서비스 블루프린트(service blueprint) 쇼스택(G.L. Shostack)이 1984년 하버..
2010.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