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52)
-
일본 서비스디자인 전문가 赤羽太郎(아카바네 타로)와의 인터뷰
이 글은 일본 서비스디자인 전문가 赤羽太郎(아카바네 타로)의 인터뷰 글을 요약, 번역한 글입니다.아카바네 타로는 일본의 서비스디자인기업 콘센트의 서비스디자인팀 책임자이자 시니어 서비스디자이너이다. "서비스디자인네트워크 Service Design Network"의 일본 사무국을 운영하고 있고 HCD-net(인간 중심 디자인 네트워크) 인증의 인간 중심 디자인 전문가이다.UX디자인과 서비스디자인의 차이점이 두 디자인 분야의 차이점은 주로 접점의 범위와 디자인의 포괄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UX디자인은 주로 사용자와 서비스의 접점(User Interface, UI)에 중점을 둔다. 즉, 사용자가 직접 상호작용하는 부분을 디자인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반면에 서비스디자인은 사용자 접점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전체적인..
2023.09.22 -
행정 현장을 지원하는 '디자인'에 대한 생각 - 일본 디지털청 디자이너의 활약상
일본의 디지털청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 과정에서 '서비스디자인'이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서비스디자인은 사용자 중심의 접근 방식을 통해 효율적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청 내에서는 이를 위해 다양한 전문가들이 모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그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데 특히, 디자이너와 행정관이 협력하여 서비스디자인의 원칙을 행정 서비스에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디지털청만의 독특한 장점이며, 행정 서비스의 효율성과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최근 일본 디지털청 note에 게재된 서비스디자인 영역의 업무에 종사하는 행정관과 디자이너 인터뷰 기사 전문을 번역해 소개한다.* 일본 디지털청(Digital Agency) : 일본 정부의 행정 기관이다..
2023.09.21 -
다이아몬드는 영원하지만, 더블다이아몬드는 변화한다
더블다이아몬드(double diamond) 디자인 프로세스는 2003년 영국 디자인카운슬(design council)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을 소개하던 초창기에 디자인 프로세스로서 더블 다이아몬드가 소개된 것이 와전되어 마치 서비스디자인 만의 프로세스처럼 인식되고 있는 측면이 있다. 영국 디자인카운슬은 원래부터 이것을 디자인 프로세스로 홍보하고 있다. 서비스디자인도 디자인이니 틀리다고 할 수는 없는 것이지만, 사실을 알고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개발배경당시 디자인카운슬은 디자인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지만, 표준화된 디자인 프로세스가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Richard Eisermann 디렉터가 팀에게 "디자인 프로세스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
2023.09.19 -
경제 성장에 미치는 AI의 잠재적 영향력 - 골드만삭스, 2023
The Potentially Large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Economic Growth (Briggs/Kodnani) 2023.3.26. Jan Hatzius, Joseph Briggs, Devesh Kodnani, Giovanni Pierdomenico 이것은 올해 3월에 발표된, AI가 일자리 3억 개를 없앤다는 공포의 골드만삭스 보고서이다. 이 보고서는 미국과 유럽의 직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직업의 약 2/3가 AI 자동화에 노출되며 생성형AI가 현재 업무의 약 ¼를 대체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세계로 확대하면 3억 개의 정규직이 AI로 대체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주요 내용 노동생산성에 대한 영향: AI의 적용은 노동생산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2023.09.19 -
생성형AI의 경제적 잠재력 - 맥킨지글로벌연구소, 2023
생성형AI의 경제적 잠재력 차세대 생산성 개척자, 생성형 AI 맥킨지글로벌연구소, 2023. 6. 맥킨지글로벌연구소의 최근 보고서 '생성형AI의 경제적 잠재력 The economic potential of generative AI'에 따르면, 생성형 AI(인공지능)는 세계 경제에 연간 2조 6천억 달러에서 최대 4조 4천억 달러에 해당하는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맥킨지는 이 보고서를 통해 업무 자동화를 통해 작업자의 업무 시간을 60~70% 줄이고, 2030년에서 2060년 사이에 모든 업무의 절반을 자동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특히 고객 관리, 영업,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연구 개발 분야에서 생성형 AI의 활용이 빛을 발할 것으로 내다봤다. 맥킨지의 시니어 파트너인 라레이나 이(L..
2023.09.18 -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에 챗GPT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가이드 - Jarle Matland
서비스디자인 AI 프롬프트 - 맥락 이해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에 ChatGPT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가이드 이 글은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에서 ChatGPT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다. 글의 초점은 프로젝트의 '탐색 Discover' 단계에서 '맥락을 이해하는 것'에 있다. 주요 내용 AI 세션 시작: ChatGPT를 최적화하기 위해 초기 설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특정 프롬프트를 사용하여 산업, 프로젝트 단계, 문제점 등을 명시한다. 맥락 이해: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중 '탐색 Discover' 단계에서는 문제 영역, 비즈니스 목표, 시장 추세를 철저히 분석하여 효과적인 서비스 솔루션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맥락을 제공한다. 프롬프트 활용: 문제를 식별하고 비즈니스 목표와 시장 ..
2023.09.18 -
디자인가치인덱스 - DMI. 2015.
Design Value Index (2015. DMI) Design Value Index는 2015년에 DMI(Design Management Institute)*가 발표한 연구로, 디자인 중심의 기업이 디자인을 중시하지 않는 기업에 비해 얼마나 더 성공적인지를 측정한다. DVI는 주로 주가 수익률과 같은 금융 지표를 사용하여 디자인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한다. 디자인 중심의 기업이 S&P 500에 비해 얼마나 더 빠르게 주식 가격이 상승하는지를 측정한다. 이 연구에서는 S&P 500 지수와 비교하여 디자인 중심의 기업이 얼마나 더 높은 주가 수익률을 보이는지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디자인 중심의 기업은 S&P 500보다 211% 더 빠르게 주식 가격이 상승했다. * Design Management In..
2023.09.17 -
IBM 디자인씽킹의 전체 경제적 영향 - IBM Design Thinking 효과 보고서, 포레스터, 2018.
IBM 디자인싱킹 실천의 총 경제적 영향 The Total Economic Impact™ Of IBM’s Design Thinking Practice. Forrester Consulting. 2018* Forrester의 Total Economic Impact™ 시리즈는 Forrester에 의해 발행되며, 특정 기술이나 서비스가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분석한다. 이 보고서는 디자인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조사 분석 보고서이다. 포레스터 컨설팅은 IBM이 디자인씽킹 서비스를 제공한 타 기업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디자인씽킹으로 어떤 성과를 냈고 어떤 경제적 이익을 얻었는지를 분석했다. 포레스터는 IBM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4개의 수요 기업과 조직 내에 디자인씽킹을 도입한 임원 60명을 조사했다. IBM은..
2023.09.16 -
'디자인의 새로운 지평' - InVision 보고서, 2019
기업이 디자인에 더 많이 투자할수록 더 나은 비즈니스 결과를 얻을 수 있다. InVision에서 발표한 '디자인의 새로운 지평' The New Design Frontier 보고서는 디자인의 중요성을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자료이다. 디자인의 새로운 지평 보고서, 왜 중요한가? 2018년 InVision은 전 세계 2,200개 이상의 조직에서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The New Design Frontier를 작성했다 . 이 보고서는 회사의 수익에 다양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고성과 팀의 행동, 관행 및 결과를 탐구한다. 이 보고서는 다양한 디자인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나 디자인을 활용하는 기업, 심지어는 디자인에 관심 있는 일반인까지도 읽어야 할 자료다. 이 보고서는 디자인이..
2023.09.16 -
(영상) 서비스디자인의 교과서 버전을 넘어 - 이정주 싱가포르국립대학교 산업디자인부 부학장
서비스디자인의 교과서 버전을 넘어 이정주 싱가포르국립대학교 산업디자인부 부학장서비스디자인쇼 인터뷰https://youtu.be/osuwNPmrdRo?si=s-GYxbCDBW_ip6Cs 이정주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산업디자인부 부학장, 교수 카이스트 산업디자인학과 졸업. 2012년 핀란드 알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 취득, 2014년부터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에서 서비스디자인과 경험디자인을 가르치고 있다. 싱가포르 노동부, 교육부, 국세청에 디자인 자문을 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주요 은행인 DBS와 OCBC를 비롯한 글로벌항만운영사 PSA 등과 다수의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저자소개에서 발췌주요내용 요약복사 붙여넣기의 함정: 서비스디자인의 표면적인 층만을 복사하는 접근법은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방식..
2023.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