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52)
-
35. 모두를 위한 디자인
포용디자인이 왜 필요하고, 어떤 가치를 가질 수 있을까? 좋은 디자인은 사용자 중심의 관점으로 소수의 불편함도 배려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 유니버설디자인, 소셜디자인, 민주적 디자인 등이 추구하는 가치는 ‘모두를 위한 디자인’, 즉 ‘포용디자인(Inclusive Design)*이라고 할 수 있다. * ’ 포용디자인(inclusive design)이란? : 신체, 정신, 문화, 경제, 성별, 연령 등 다양한 차이를 가진 사람들이 차별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포용하는, 모두를 배려하는 디자인을 의미함 * 영국 표준원(British Standard Institution)에서의 포용디자인의 정의 : 포용디자인이란 일상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이..
2023.07.13 -
36. 포스트코로나, 디자인의 미래
세계는 코로나19로 문명의 전환점이 왔음을 동시적으로 인식하고 대응하는 중으로, 변화의 속도와 규모가 역사상 그 예를 찾기 어려울 정도다. 우리나라도 사회 각 분야에서 현재를 점검하고 미래 전략을 새롭게 수립하는 동향이 전방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디자인기업, 소비자 및 디자인수요시장, 디자인산업과 연관된 분야의 산업 등이 모두 중요한 변화를 맞고 있어 디자인산업 육성 정책 또한 이러한 환경변화를 고려해 미래 대응 전략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인식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디자인진흥원이 페이스북 이용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했던 설문 결과*를 보면 큰 변화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혁신실, 「코로나19, 디자이너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까요..
2023.07.13 -
37. 코로나19, 디자인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까?
코로나는 디자인 업(業)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디자이너 10인의 생각 모음 : https://servicedesign.tistory.com/225#gsc.tab=0 코로나19, 디자인 업(業)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 디자이너의 생각 모 코로나19, 디자인 업(業)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10인의 디자이너들의 생각을 모았습니다. 출처 : 한국디자인진흥원 유튜브 www.youtube.com/c/KoreaInstituteofDesignPromotion Korea In servicedesign.tistory.com 고수영 삼성SDS CX(Customer experience)컨설팅 그룹장 글로벌 3대 디자인어워드 수상, 대한민국디자인..
2023.07.13 -
38. 통일한국의 미래, 왜 디자인을 말해야 하나?
한강의 기적을 이룬 세대가 다음 세대로 주도권을 넘기면서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성장중심의 논리로 소수의견은 무시되고, 사회안전망은 갖추어지지 않고, 인간다운 삶을 바라는 정당한 소망은 살만해진 자의 투정으로 치부된다. 약자를 배려하고 살피는 홍익인간의 가치관은 파괴되었다. 자살율 세계 1위,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 1위,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지수 꼴찌 등 우리가 알고 있는 국민들이 행복하지 않음을 말하는 많은 숫자들은 인간성이 무시되어 온 결과다. 기대했던 것 이상의 산업적 성취를 이루고 난 지금, 우리의 다음 목표는 무엇인가? 진정한 국민의 행복을 위해 국가는 이제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그간 성장을 최대 목표로 구축했던 국가 인프라는 이제 어떻게 변화되어야 할까? 통일 후 북한은 70~80년대 우리가..
2023.07.13 -
참고한 글
2009년 산업디자인통계조사, 한국디자인진흥원, 2009 2019년 국가별 경쟁력 평가 결과, 세계경제포럼(WEF) 2019년 디자인 분류체계 재정립 연구 보고서, 한국디자인진흥원, 2019 Department of Innovation Industry & Regional Development, Developing Victoria’s Design Capability, 2003 Design for Public Good, Design Council, 2013 K-디자인이란, 한국디자인진흥원, 2013 OECD의 한눈에 보는 정부(Government at a Glance) Sir George Cox, Cox Review of Creativity in Business, Design Council, 2005 the..
2023.07.13 -
키워드
ESG 경영 IDEO 개념 경험디자인 고객욕구 공감 공공부문혁신 공공서비스 공공서비스디자인 공공서비스혁신 관찰 국민디자인단 기업지원 디자이너 디자이너역량 디자인R&D 디자인경영 디자인교육 디자인발전단계 디자인분류체계 디자인산업 디자인산업분류 디자인산업진흥 디자인수요시장 디자인역할 디자인전문기업 디자인정의 디자인정책 문제정의 문화확산 미래디자인 민감성 법제도 비전체계 사용자경험 사용자중심 사용자중심디자인 사회문제해결디자인 산업서비스화 산업육성정책 산업융합 서비스R&D 서비스디자인 서비스산업고도화 선행디자인 설립배경 수요시장 수요자중심 스타일산업 스타일테크 스티브잡스 시범사업 애플 에너지고지서 우수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 인력양성 인터뷰 인프라 인하우스디자인팀 일자리창출 전략디자인 정부R&D 제조서비스화 중간재..
2023.07.13 -
[특별 기고] 인공지능 기술은 디자인 분야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특별 기고] 인공지능 기술은 디자인 분야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윤성원 한국디자인진흥원 혁신성장본부 서비스디자인실 안전디자인팀 팀장 + chatGPT 출처 : 2023.06.02. 디자인DB, 디자인정글 공동게재 위대한 오즈의 챗GPT 들어가는 글 챗GPT가 유용한 도구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업무에 활용할 방법을 찾느라 의도적으로 자주 사용하고 있다. (챗GPT를 활용해 쓴 글 모음…) 도와달라 하면 언제든 자기 일처럼 도와주는 박학다식한 동료 같다. 새로운 영역을 탐색하는데도 충분히 훌륭한 가이드가 된다. 사전 정보 없이 대화 내용만 봐서는 상대가 인간인지 아닌지 분별하기 어렵다. 챗GPT의 답에 대해 나는 "잘했어" 또는 "고마워"라고 답하기도 했고, 때로 그 탁월함에 경외감을 느끼기도 했다. ..
2023.06.02 -
공공정책에 디자인을 어떻게 활용할까? 6/6 - 모두를 위한 국가를 만드는 디자인 : 3. 서비스디자인 과정과 구현 방법 (+ 발표자료)
실제로 서비스디자인을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실 분도 있을 것 같아요. 마지막으로 서비스디자인 과정에 대해서 간략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위 그림은 제민 헤게만(Jamin Hegeman. Capital One 경험 전략 부사장)이 만든, 서비스디자인 과정을 설명하는 이미지입니다. 이것을 기준으로 설명드릴게요. 1. 리서치를 합니다. 2. 그 결과를 그림으로 시각화합니다. 3. 그리고 어떻게 개선하면 좋을지 아이디어를 냅니다. 4. 그것을 이야기로 만듭니다. 5. 그 이야기가 작동하는 구조를 만듭니다. 그 결과물을 서비스블루프린트라고 부릅니다. 6. 그리고 서비스블루프린트 하에서 필요한 디자인들을 개발하게 됩니다. 아주 초간단한 버전으로 서비스디자인 과정을 설명하자면 이와 같습니다. 실제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2023.05.21 -
공공정책에 디자인을 어떻게 활용할까? 5/6 - 모두를 위한 국가를 만드는 디자인 : 2. 포용디자인의 중요성과 가능성
모두를 위한 국가 디자인이라는 주제의 이야기를 이어 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는 민감성과 공감력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서비스디자인을 할 때도 높은 민감성과 공감력이 중요한 역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는 트라이포드 디자인이라는 회사입니다. 대표인 나카가와 사토시는 일본에 유니버설디자인이 정착되는데 큰 역할을 해 오신 분입니다. 지금 이 사진은 60대 이상 노년층을 위한 약 패키지 개발 과정 중 한 장면을 연출한 것입니다. 노년층은 피부가 건조해서 약상자를 열거나 씌워져 있는 비닐을 뜯는 등 작은 패키지를 다루는 것이 상당히 어렵습니다. CD케이스에 씌워진 비닐 같은 것은 거의 뜯기가 어려워요. 그래서 디자인개발 시에 디자이너들이 사용자의 상황을 경험할 수 있게 하는 툴킷을 이..
2023.05.21 -
공공정책에 디자인을 어떻게 활용할까? 4/6 - 모두를 위한 국가를 만드는 디자인 : 1. 말과 글을 넘어 사용자를 들여다보기
마지막으로 모두를 위한 국가 디자인이라는 주제입니다. 이 이야기는 좀 더 길 것입니다. 디자인은 설계죠. 실제로 중국에서는 디자인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고 설계라고 합니다. 정책의 설계자는 정책 디자이너라고 할 수 있죠. 행정안전부는 2014년부터 정책 기획에 있어 디자인 방법을 사용한다는 개념으로 국민디자인단, 국민정책디자인과 같은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상당히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표는 국민들한테 장기 기증 의사를 물어본 결과입니다. 덴마크, 영국, 독일처럼 어떤 나라들은 아주 낮고 오스트리아, 프랑스 같이 어떤 나라들은 굉장히 높죠. 100%도 꽤 있죠? 그런데 이런 표는 흔히 접하기 어려운 표입니다. 보통은 어떤 조사를 했을 때 조사 결과가 이렇게 양극단으로 나오고 중간치가 전혀 없다..
2023.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