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215)
-
15. 연도별 디자인산업 주요 통계
구 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19년대비증감 디자인 활용률(전체산업 기준) 16.0% 16.4% 16.8% 17.2% 18.8% 1.6%p 디자인 활용률(특수분류 기준) 33.6% 34.4% 35.9% 37.1% 39.9% 2.8%p 디자인 산업규모 16.91조원 17.55조원 17.86조원 18.29조원 19.42조원 6.2% 디자인활용업체 디자인투자 120,411억원 123,490억원 127,580억원 128,083억원 130,857억원 2.2% 디자인전문업체 매출액 33,578억원 35,247억원 36,245억원 39,628억원 43,897억원 10.8% 디자인전문업체 평균매출액 6.19억원 6.41억원 6.51억원 6.33억원 6.07억원 △4.1% 공공부문 디자인..
2023.07.13 -
16. 너무 많은 디자인 전공자
“디자인 인력의 평균 연령은 33.9세였습니다. 전체 취업자 평균연령이 44.7세임을 고려하면 다른 직종에 비해 약 10년 정도가 젊은것입니다.” 기사 ‘디자인 직종, 취업 후 3∼5년이 고비’. 연합뉴스. 2014.11.29. 중 고용정보원 관계자 인터뷰 발췌 이 말이 의미하는 실상은 디자이너가 타 직종 보다 10년 정도나 일찍 퇴직이나 전업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디자인산업의 서비스 공급자(디자인 전문인력)가 다른 산업보다 10년 정도 더 경력이 적다는 것을, 디자인산업의 전문역량이 상대적으로 숙성되지 못한 현실을 말하고 있다. 이것은 디자인이 오랜 경험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문제의 기획 단계에서 문제를 정의하고 방향을 정하는 중요한 역할로서 활용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피상적인 스타일에 국한된 문제해결 ..
2023.07.13 -
17. 전문인력양성과 고용창출 정책
전주기적 디자이너 양성의 필요성 디자인산업 생태계의 공급자인 디자이너 인력에 대해 전주기형 인력관리 모델을 수립하고 각 단계별 특징에 따라 맞춤형 정책을 구사해야 한다. ‘재학단계’, ‘재직단계’, ‘퇴직 이후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 따라 적절하게 특성화된 인력 양성의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재학단계'에서 디자인 전공자는 확장되어 가는 디자인산업에 보조를 맞추어 산업융합, 서비스산업 고도화, 사회문제 해결과 같은 주제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자극받는 시기가 되어야 한다. 학교는 이러한 주제를 다학제 동료들과 함께 풀어나가며 수용성이 높은 전문인력으로서 육성될 수 있는 토양을 제공해야 한다. 디자인과 인지과학, 인간공학, 경영학, 인문학, 심리학 등이 융합된 커리큘럼을 개발하여 美 ‘스탠퍼드..
2023.07.13 -
18. 디자인전문기업의 중요성
최고의 디자인기업 중 하나인 IDEO는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 25개’ (세상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 25, 비즈니스위크. 관련 영상) 중 하나로 꼽힌 전력이 있다. IDEO는 동시에 나머지 24개의 혁신기업을 컨설팅하고 있는 기업이기도 하다. MP3 제조업체 레인콤은 2002년 디자인전문기업 ‘이노디자인’의 컨설팅을 통해 삼각형 모양의 특이한 형태의 ‘프리즘’을 생산하게 되면서 당시 MP3 매출 세계 1위 기업이 되었다. 레인콤의 기술력도 뛰어났지만, 파격적인 디자인이 사용자가 구매했던 가장 큰 이유였다. 이노디자인의 디자인역량이 뛰어났기에 있을 수 있던 일이다. 판매하는 제품당 디자인 로열티를 받는 형식(성과 배분)의 디자인 계약으로 성과를 낸 대표사례이기도 하다. 우리에게 IDEO나 이노디자..
2023.07.13 -
19. 국내 디자인산업 현황 및 문제점
구분 주요 내용 경쟁 환경 ○ 취약한 국제 경쟁력 - 국내 디자인산업은 급속히 쇠퇴(2007년 9위 -> 2010년 15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1) 중소기업의 디자인에 대한 낮은 인식, 2) 이로 인해 늘지 않는 디자인 수요시장, 3) 인력공급과다와 노동환경 취약성으로 우수인재의 유인성 낮음 4) 디자인 전문기업의 역량 미흡과 영세성 등 세계 수준에 비교해 볼 때 국내 디자인산업은 많은 취약점이 존재 ○ 글로벌 경쟁 심화 - 이탈리아, 영국 등 유럽 디자인기업이 국내 기업의 디자인 개발에 참여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음. 국내기업은 디자인 리서치 등 종합적 컨설팅 역량을 발휘할 기회가 줄어듦 R&D ○ 정부 R&D 투자 부족으로 공통 활용 기술력 저하 - 국내 디자인 R&D 예산은 597억 원(2..
2023.07.13 -
20. 디자인 수요시장에 대한 이해
1) 일찍이 ‘새로운 미래가 온다’의 저자 다니엘 핑크(Daniel H. Pink)는 ‘지는 MBA, 뜨는 MFA(The MFA is the new MBA)’라는 글을 통해 기업 경영에서 예술 관련 학위가 가장 인기 있으며, MFA(Master of Fine Arts)가 MBA(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를 대체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2) 2013년 5월, 직원이 22만 명이 넘는 글로벌 경영컨설팅 기업인 엑센추어는 200여 명 규모의 영국 서비스디자인기업인 피요르드를 인수했다. 이에 앞서 경영컨설팅 회사로 잘 알려진 모니터그룹은 디자인리서치로 뛰어난 역량을 갖추었다고 평가받는 더블린 그룹을 인수하였다. 규모 있는 경영컨설팅 회사가 디자인기업을 인수하여 새로운 사업..
2023.07.13 -
21. 수요시장의 변화 1) 제조의 서비스화
사용자의 욕구에 집중함으로써 새로운 수요시장을 만들 수 있다. 제조의 서비스화를 통해 제조기업이 서비스 기업으로 전환하게 되면서 제품 판매로 이익을 내는 구조에서 벗어나 보다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더 나은 제품을 만드는 데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제조의 서비스화에 있어 디자인은 사용자 중심의 제품/서비스를 실현하는 효과적 방법이다. --- 제품 본연의 경쟁력 보다 사용자의 욕구에 집중 전구 제조업을 예로 든다면, 이제까지 전구의 경쟁력은 ‘얼마나 밝고, 오래가고, 가격이 싼가’이다. 우리나라 전구 제조업체가 여전히 밝고 오래가는 전구 개발에 집중하고 있을 때 필립스는 약 20년 전부터 제품 자체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넘어, 빛이 사람에게 어떤 경험(감각, 감성, 감정, 느낌, 심리, 기억 등)을 주..
2023.07.13 -
22. 수요시장의 변화 2) 서비스경제화의 물결
서비스산업은 우리나라 경제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이미 가장 중요한 산업이다. 서비스산업은 전통적으로 제조 강국인 우리나라에서 근원적 부를 창출하지 못하는 사업으로 치부되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부각되지 못하고 있는 면이 있다. 제조산업에 집중하는 중에 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을 키워야 할 중요한 기회를 잃는 건 아닐까?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 주요국은 이미 서비스산업이 가장 중요한 산업이고 그 비중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경제의 가치창출 원천이 제조에서 서비스로 변화되어 가는 것을 ‘서비스 경제화’라고 하는데, 서비스 경제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서비스업을 주로 수행하는 기업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포춘지에 따르면 1990년 세계 100대 기업 중 서비스기업은 7개에 ..
2023.07.13 -
23. 수요시장의 변화 3) 공공부문의 거대한 변화
수요자 중심 공공서비스를 실현하는 디자인 제19대 정부가 비전으로 제시했던 ‘혁신적 포용국가’는 수요자 중심의 공공서비스*가 실현될 때 가능한 목표이다. * 공공서비스는 정부가 국민들에게 공급하는 유·무형의 생산물을 의미한다. 정부개혁과 관련된 많은 논의가 공공서비스에서 형평과 효율을 기준으로 상하수도, 가로등, 도로교통, 쓰레기 처리 등과 같은 일상생활 영역에 필요한 공공서비스 개혁에 초첨을 맞추고 있다.(새 행정학, 대영문화사 2013) 우리 사회는 공공서비스가 수요자 지향으로 바뀌는 거대한 변화를 맞고 있다. 공공서비스는 국가와 국민이 접하는 최전선에서 국민 생활과 깊은 관련이 있는 만큼 정부도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그럼에도 국가경쟁력 조사 대상 141개국 중 사회자본 72위, 정부규제..
2023.07.13 -
24. 디자인 신영역의 시범사업, 왜 중요한가?
국가 정책의 차원에서 디자인 영역 확장은 시범사업으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시범사업은 민간과 공공 모든 영역에서 실행되고 있다. 시범사업이 이렇게 광범위하게 실행되고 있는 이유는 적은 예산으로 소규모 실행해 그 결과를 확인, 평가할 수 있고 문제를 발견하거나 개선 방향을 찾아 본래 해야 할 사업을 더 정교하게 재설계하여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범사업들이 실패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원래 시범사업은 실패를 감안하고 하는 것이라고, 또 실패를 통해서 실패하지 않으려면 해야 할 점을 찾는 것에 의의를 둔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시범사업도 실패보다는 성공이 낫다. 작게라도 성공에 근접하게 도달해야 이른바 ‘탄착점’에 더 가까이에서 의미 있는 개선 방향을..
2023.07.13